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산업부] 기업·연구자들과 연구개발 투자전략 확정

 

기업·연구자들과 연구개발 투자전략 확정

-산업·에너지 연구개발(R&D) 전략기획투자협의회 1차 회의

❶ 11개 분야별 PM그룹(120명), 40개 프로젝트팀 등 초격차 프로젝트 추진체계 구축

❷ 도전‧혁신형 연구개발 중심 ’25년 산업‧에너지 연구개발(R&D) 투자방향 논의

❸ 알키미스트Ⅱ, 인공지능(AI) 자율제조 등 ’24년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대상 확정

❹ 제8차 산업기술혁신계획(‘24~’28) 기본방향 논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민간 주도의 연구개발(R&D) 전략기획과 투자의사결정을 위해 '24년 전략기획투자협의회 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전략기획투자협의회는 민간이 단독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차세대 기술 중심 연구개발(R&D) 투자혁신 방안을 논의하는 민관협의체다.

 

  1차 회의에 앞서 13명의 민간위원이 신규로 위촉된다. 인공지능(AI)·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바이오·모빌리티·자율제조·로봇·원전·신재생 등 분야별 최고 전문가와 경제·기술금융·기술혁신 등 정책전문가 등이 포함되었다. 위원들은 2년간 산업·에너지 연구개발(R&D) 투자 관련 핵심 의사결정에 참여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➀초격차 프로젝트 추진계획 ➁'25년 산업·에너지 연구개발(R&D) 투자방향 ➂'24년 산업·에너지 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선정 등이 심의안건으로 상정되고, ➃제8차 산업기술혁신 촉진계획 방향이 토론안건으로 논의되었다.

 

 ❶우선 미(美) 다르파 방식을 적용해 40개 초격차 프로젝트별로 PD중심의 프로젝트팀을 구성하고 미션 달성을 위한 로드맵 수립, 사업‧과제 기획에서부터 평가 등 프로젝트 전주기를 책임‧관리하도록 전권을 부여한다. 아울러 프로젝트 이행 상황 점검‧관리, 신규 프로젝트 발굴 등을 위해 11개 분야별로 10여명의 PM그룹을 구성(총 120명)하는 등 민간주도의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5월까지 40대 프로젝트의 로드맵을 완성한다. 10월까지 신규 프로젝트도 추가 발굴·확정한다.

 

 ❷'25년 산업·에너지 연구개발(R&D) 투자는 초격차 프로젝트, 도전‧혁신형 연구개발(R&D)과 함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급소기술, 디지털·친환경 전환 공통핵심기술, 신진연구자 성장을 위한 투자를 강화한다. 산업부는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자율제조 인공지능(AI) 개발,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개발, 미래차용 초고속 통신반도체 기술개발 등 총 6.7조 원 규모의 '25년 투자수요를 검토해 투자방향과 우선순위에 맞게 선별할 계획이다.

 

 ❸산업부가 올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대상 사업도 선정한다. 수요제기된 19개 사업 중 금년에 신청가능한 총 연간 사업규모(5천억 원 내외)에 맞게 알키미스트Ⅱ,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 차세대 첨단반도체 기술센터, 인공지능(AI)자율제조 기술개발 등 10개 사업을 신청하는 안을 심의하였다(협의회 결과에 따라 변경 가능).

 

 

 회의를 주재한 강경성 산업부 1차관은 "기업과 연구자들이 혁신을 위해 도전할 수 있도록 민간주도로 투자방향을 정하고 정부가 실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략기획투자협의회는 오는 5월, 10월에 추가 개최한다.

 

 

담당 부서

산업기술융합정책관

책임자

과  장

정  권

044-203-4510

<총괄>

산업기술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조영길

044-203-4515

 

 

담당자

사무관

정재욱

044-203-4526

담당자

사무관

최재혁

044-203-4513

 

 

참고1

 

 제1차 전략기획투자협의회 개요

 

□ 추진배경

 

 ㅇ 산업·에너지 R&D 투자 방향 심의, 산업기술혁신계획 방향 논의

 

    * 근거: 「산업기술혁신촉진법(제6조)」및 「전략기획투자협의회 운영규정(고시 제21013-23호)」

 

□ 회의개요

 

 ㅇ 일시 : ‘24.3.11(월) 14:30 ~ 16:10

 

 ㅇ 장소 : 산업통상자원부 회의실 551호

 

 ㅇ 참석 : 산업부 1차관, 산업통상자원 R&D전략기획단장, 민간위원 등 22명

 

      - (산업부) 1차관, 산업기술융합정책관, 산업공급망정책관, 에너지정책관 등 6명

 

      - (전략기획단) 단장, 전략프로젝트‧혁신전략‧성과확산‧에너지MD 등 5명

 

      - (민간위원) 민간위원 10명(해외출장 등 사유로 3명 미참석)

 

 ㅇ 안건 : (보고) 전략기획투자협의회 운영계획
(심의1) 초격차 프로젝트 추진계획
(심의2) ’25년 산업‧에너지 R&D 투자방향(안)
(심의3) ’24년 산업‧에너지 R&D 예비타당성조사 추진계획(안)
(토론) 제8차 산업기술혁신계획 기본방향(안)

 

□ 세부일정         

 

시 간

내 용

비고

14:30∼14:35

05‘

인사 말씀

차관

14:35∼14:45

10‘

위촉장 수여 및 기념 촬영

차관

14:45∼15:45

60‘

‣보고‧심의 안건 상정
 - (보고)전략기획투자협의회 운영계획

 - (심의1)초격차프로젝트 추진계획

 - (심의2)‘25년 산업‧에너지 사업 투자방향

 - (심의3)‘24년 예타조사 추진계획

* 전체 안건 보고 후 토의

보고: 산업기술정책과장

15:45∼16:05

20‘

‣토의안건 상정

 - 제8차 산업기술혁신계획 기본방향

보고: 혁신전략MD

16:05∼16:10

05‘

마무리 말씀

차관

 

 

참고2

 

 전략기획투자협의회 위원 명단

 

 

구분

성명

소속

직위

비고

의장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공동

의장

장웅성

전략기획단

단장

위원

이민우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

상임

윤성혁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공급망정책관

안건에

따라

변경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관

조웅환

산업통상자원부

기계로봇항공과장(代)

이규봉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과장(代)

임영목

전략기획단

전략프로젝트MD

상임

김현철

전략기획단

혁신전략MD

오동훈

전략기획단

성과확산MD

이원용

전략기획단

에너지MD

이혁재

서울대학교

전지정보공학부 교수

민간

위원

박진성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성낙섭

현대자동차

전무

김영준

성균관대학교

차세대융합에너지센터장

박영준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공경철

엔젤로보틱스

대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센터장

장영재

다임리서치

대표

노동석

원전소통지원센터

센터장

이해석

고려대학교

융합에너지공학과 교수

안현실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교수

김철호

효성벤처스

대표

이성주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간사

정  권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정책과장

 

 

 

참고3

 

 안건 주요내용

 

 

1

 (보고) 전략기획투자협의회 추진 계획

 

□ (목적) 산업·에너지 R&D 혁신계획, 투자전략 등을 논의·수립하기 위해 산·학·연 민간전문가 참여 및 의견수렴을 위한 협력체계 마련

 

  * 산촉법 제6조② 산업부 장관은 산업기술혁신 세부계획의 수립에 필요한 경우에는 민간 전문가의 참여 및 의견수렴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 (구성) 산업부 차관·OSP 단장(공동의장), 기술국장, 안건 관련 국장, 민간전문가, 투자관리자(MD) 등 20명 내외

 

□ (심의 사항) 산업·에너지 R&D 투자와 관련된 핵심 사항

 

  * ➊ 미래산업 성장동력 분야 및 핵심기술의 발굴에 관한 사항

    ➋ 산업기술혁신사업의 기본방향 및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사항

    ➌ 산업기술혁신사업의 종합 성과분석 및 구조조정에 관한 사항

    ➍ 민·관 및 국제기술개발 협력방안에 관한 사항

    ➎ 산업기술혁신사업의 기획·평가·관리 및 투자조정에 관한 사항

    ➏ 그 밖에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운영) 정부 R&D 예산 절차를 고려하여 매년 2·5·10월 정례화

 

 ㅇ (3월) 신규 R&D 사업 기획 방향, 신규 예타 계획 등

 

 ㅇ (5월) ‘25년 산업기술 R&D 예산 편성(안), 제8차 산업기술혁신계획 등

 

 ㅇ (10월) 차차년도(‘26년) 투자방향 수립, ‘25년 R&D 신규 과제 등

 

 

2

 (심의1) 초격차 프로젝트 추진 계획

 

□ (배경) 반도체 등 11개 분야 40대 초격차 프로젝트 선정·발표 
→ 올해 1조 3,099억원 투자

 

□ (추진체계) 파급력 있는 성과 창출 위해 산·학·연 역량을 집중하고, 유연하고 신속한 민간 주도 의사결정체계 확립 

 

< 초격차 프로젝트 추진체계 >

 

 

 

 

「전략기획투자협의회」

 

 

 

기술국

 

 

 

 

 

 

 

 

 

 

「초격차 프로젝트 운영위원회」

 

 

 

 

 

 

 

 

 

 

 

 

 

 

 

 

 

 

 

 

 

 

 

 

 

 

 

 

 

 

 

반도체 PM그룹

(반도체과)

 

이차전지 PM그룹

(배터리과)

첨단바이오 PM그룹

(바이오과)

 

 

소관과

 

 

 

 

 

 

 

 

 

 

 

프로젝트팀

(전담PD)

프로젝트팀

(전담PD)

 

프로젝트팀

(전담PD)

프로젝트팀

(전담PD)

 

프로젝트팀

(전담PD)

프로젝트팀

(전담PD)

 

 

 

 

 

 

 ㅇ 전략기획투자협의회 : 초격차 프로젝트 주요사항을 심의·총괄

 

   * 초격차 로드맵 확정·발표, 신규 투자분야 심의, 추진체계 구성·역할 조정 등

 

 ㅇ 초격차 프로젝트 운영위원회 : 초격차 전반에 대한 방향 점검·논의

 

   * 중점투자분야 진행사항 평가, 신규 중점투자분야 발굴 등

 

 ㅇ 프로젝트 관리자그룹(PM그룹) : 중점투자분야 미션·프로젝트 이행

  

   * 분야별 10명 내외 → 11개 분야 총 120명

   * 분야별 로드맵 총괄 관리, 신규 프로젝트 발굴, 미션·프로젝트 목표 점검 등

 

 ㅇ 전담 PD 중심 프로젝트팀(팀별 5명 내외) : 프로젝트 전주기 책임 관리

 

   * 각 프로젝트 목표 달성을 위해 신규 사업·과제 기획부터 평가까지 전담 관리

 

□ (항후계획) (3월) PM 그룹별 Kick-Off(소관과) → (5월) 초격차 로드맵 수립·발표 → (10월) 초격차 로드맵 롤링 플랜 확정·추진

 

 

3

 (심의2) ’25년 산업·에너지 R&D 투자방향(안)

 

□ (배경) 민간이 단독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차세대 기술에 집중 투자하고 도전‧혁신형 R&D 확대를 위한 투자방향 논의‧확정

 

□ (투자수요) 계속사업 182개 61,928억원 + 신규사업 101개 5,319억원 → 총 67,248억원(’24.2월말 기준)

 

□ (투자방향) 정부 R&D 투자방향 및 우리부 초격차 기술개발 로드맵 중심의 투자 기본 방향 설정

 

 ➀ 초격차 확보 11개 분야 40대 프로젝트에 신규투자 70% 이상 투자

 

 ➁ 도전·혁신 연구 매년 신규투자의 10% 이상 투입

 

 ➂ 첨단산업 분야 중심 핵심 소부장 급소기술 확보

 

 ➃ On-device AI, 자율제조, 탄소중립 등 디지털·친환경 전환 기술 투자

 

 ➄ 세계 최초·최고 수준 도약을 위한 전략적 글로벌 협력 투자

 

 ➅ 시장선별 프로젝트 대상 민관공동 스케일업 지원

 

 ➆ 신진연구자 기획·참여 확대 등 인재성장 지원 강화

 

□ (예산 배분기준) ➊보조금 성격‧저혁신성 사업 축소 등 구조개혁 기조 유지 ➋필수 소요사업은 프로그램형 사업* 중심 편성(신규사업 신설 최소화), ➌도전혁신형·초격차 기술 중심 신규사업 선정, ➍신규사업의 정책부합성·혁신성 평가 강화(OSP·외부전문가 참여 확대 등)

 

    * 사업수: (‘23) 280개 → (’24) 230개 → (‘25) 200개 미만

 

 

4

 (심의3) ’24년 산업‧에너지 R&D 예비타당성조사 추진계획(안)

 

□ (추진배경) 정부는 재정건전성 확보와 면밀한 사업 검토를 위해 연간 예타 추진사업을 부처별 가용예산 내에서 신청하도록 개편

 

    * 「정부R&D 혁신방안」(‘23.11),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편방안」(‘24.1)

    * 기존에는 부처별 예타 조사 요구 대상 사업을 매해 분기별로 수요 접수

 

□ (가용예산) 가용예산 산출 지침*에 따른 우리부 향후 3년간 신규사업 가용예산은 연평균 5천억원 내외

 

 ㅇ 신규 가용예산 = ‘연도별 R&D예산 추정액’* – ‘계속사업 예산 추정액’**

 

    * 기재부 「국가재정운용계획」(’23.8월) 상 R&D예산 연도별 증가율(7%)을 반영

   ** 부처 ‘중기재정계획’ 상 계속사업 소요 예산을 추정

 

□ (‘24년 예타수요) ‘24년 우리부 예타 신청 수요 사업은 총 19개

 

 ㅇ ’26년 가용예산 범위 내로 사업 선별 및 규모 조정

 

□ (조정안) 정부 R&D 투자방향(도전혁신형, 글로벌 공동연구), 우리부 R&D 혁신방안(초격차기술개발), 국정과제 등 기준으로 우선순위 도출

 

 ㅇ 초격차 프로젝트 지원, 도전혁신형 기술개발 등 산업부 예타 추진방향에 부합하는 10개 사업 우선 대상 검토

 

    * 글로벌 미래 판기술 프로그램 사업,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 중견기업혁신 펜타곤 프로젝트 등

 

 ㅇ 9개 사업에 대해서는 전략기획투자협의회 논의를 통해 추진 필요성 추가 검토

 

 

붙임

 

 신규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안)

 

 

구분

사업명

내용

1

알키미스트Ⅱ

(글로벌 미래 판(版)기술  프로그램)

 10년 이내 글로벌 신시장 창출이 가능한 혁신 전략기술 분야를 발굴하여 선도 연구기관과의 국제공동 기술개발 추진

2

수출지향형 글로벌

 우수기업연구소 육성

 글로벌 협력 중심 세계최고 기업연구소 도약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초격차 혁신기술 확보

3

한국형 수원제철 실증

 기술개발 사업

 철강산업 온실가스 배출량의 혁신적인 저감을 위한 수소유동환원공정을 세계 최초 개발하는 도전‧혁신형 사업

4

중견기업혁신 펜타곤

 프로젝트

 중견기업의 개발 수요가 확인된 초격차 11대 기술 분야 핵심 기술개발 추진

5

차세대 첨단반도체기술센터(ASTC) 구축

 반도체 소자·소부장 자립화를 위한 신소재·첨단공장장비 성능·신뢰성 장비구축

6

첨단바이오치료제

맞춤형제조공정 혁신

 첨단바이오치료제 제조기반 자립을 위한 핵심기술(세포주 대량배양 등), 공정자동화시스템 개발

7

국가 전주기의료기기

 연구개발

 디지털 데이터 중심 진단 의료기기 개발,
협업 지능형 치료 의료기기 개발, 인체 친화 삽입형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등

8

인체질환극복

 마이크로바이옴 기술개발

 미생물 기반 유전체 분석기술, 치료제, 제품생산기술 개발을 통한 디지털·바이오 융합 선제 대응 및 바이오 제조강국 도약

9

차세대 핵연료 기술개발

 원전연료 농축도 상향(LEU+) 핵연료 개발 및 제조기술 확보 등을 통해 사용후 핵연료 발생량 저감 및 국내 원전산업 경쟁력 제고

10

AI자율제조 기술개발

 AI 자율제조 5단계 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해 산업대전환 대응을 위한 제조시스템 지능화, 제조업과 서비스 융합을 통한 新비즈니스 창출

 

 

5

 (토론) 제8차 산업기술혁신계획(‘24∼‘28) 기본방향(안)

 

□ (배경) 산업기술혁신촉진법에 따라 제8차 산업기술혁신계획 수립 추진

 

□ (경과) 산업기술혁신계획 TF 운영(‘23.10~) 및 분야별 과제 발굴 추진

 

    * 분과 : 혁신주체, 혁신자원, 혁신활동, 혁신가치 → 산업기술‧정책 전문가 124명 참여

 

□ (분석‧평가)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대내‧외 산업‧에너지 기술 환경 변화 검토

 

    * 7차 계획 4대 전략: ➊5대 전략분야 100대 핵심기술개발, ➋알키미스트 프로젝트, ➌국가혁신체계 고도화를 위한 기반구축, ➍신속 시장진출 지원 등

 

 ㅇ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디지털‧친환경 산업대전환 가속화, 혁신기술 등장(ChatGPT 등), 잠재성장률 하락 등으로 기술혁신 중요성 확산

 

□ (방향) 산업기술혁신체계의 구성‧기능을 검토하여 미래 혁신방향 제시

 

 ㅇ 혁신체계 : 혁신주체(기업·대학·연구소 등), 혁신자원(기반‧제도‧프로세스 등),
혁신활동(기술개발), 부가가치(사업화‧술이전 등)  

 

    * 산촉법 제2조 : 산업기술혁신이란 ❶기술혁신주체가 ❷기술혁신 자원을 활용하여 ❸기술혁신활동을 수행하고, 그 성과물을 사업화함으로써 ❹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ㅇ 정부 R&D 구조개혁 취지를 반영해 산업기술혁신 방향 수립

 

   - 혁신주체 : 기업 R&D 투자 활성화, 대학‧연구기관 등 역할 강화

 

   - 혁신자원 : R&D 투자의 효율성‧전략성 강화, 수요자 중심 R&D 프로세스 개편, 혁신기술을 위한 표준‧규제해소 등 제도 개선

 

   - 혁신활동 : 초격차 기술, 세계 최초‧최고 지향 도전‧혁신 연구개발 확대,
자율제조‧산업별 AI 내재화, 그린경제 촉진, 융합 R&D 추진

 

   - 가치창출 : 기술이전 전략화, 미래성장동력 사업화, 글로벌 R&D 역량 확보, 국민이 공감하는 산업기술문화 조성 등

 

□ (향후계획) 실무안작성(3월), 전략기획투자협의회(5월), 국가과학기술자문위(6월)

 

 

참고4

 

 중점투자분야별 PM 그룹 명단(안)

연번

분야

소속

성명

직위

1

반도체

현대모비스

장두진

책임

2

파워큐브세미

경신수

소장

3

텔레칩스

이수인

상무

4

LX세미콘

고대협

전무

5

숭실대학교

이성수

교수

6

SK하이닉스

문기일

부사장

7

네페스

김종헌

부사장

8

하나마이크론

고용남

연구소장

9

인하대학교

최리노

교수

10

전자기술연구원

황태호

본부장

11

디스

플레이

동진세미캠

김병욱

부사장

12

한국화학연구원

최우진

본부장

13

한국광기술원

전시욱

센터장

14

삼성디스플레이

허종무

상무

15

순천향대학교

문대규

교수

16

LG디스플레이

박권식

연구소장

17

아바코

전용배

전무

18

고려대학교

주병권

교수

19

비아트론

박왕준

이사

20

세종대학교

최희진

교수

21

이차

전지

더블유씨피

김병현

소장

22

씨아이에스

강희국

소장

23

엔켐

유상길

상무

24

포스코홀딩스

남상철

센터장

25

SKon

이존하

센터장

26

코스모화학

김태영

상무

27

연세대학교

이상영

교수

28

LG화학

안동준

담당

29

율촌화학

강성규

상무

30

한양대학교

김동원

교수

31

미래

모빌리티

현대트렌시스

김연호

상무

32

덕양산업

곽성복

이사

33

국민대학교

정구민

교수

34

KG모빌리티

김진영

팀장

35

영남대학교

권성진

교수

36

현대중공업

안성찬

상무

37

해양대학교

천강우

교수

38

한국조선해양

이동주

상무

39

인하대학교

이장현

교수

40

삼성중공업

김재우

그룹장

41

핵심

소재

㈜아모그린텍

송용설

부사장

42

(주)LG화학

이주성

개발총괄

43

인하대학교

현승균

교수

44

한국재료연구원

김도근

본부장

45

포스코

이상호

연구위원(전무)

46

연세대학교

손일

교수

47

SK케미칼

김한석

연구소장

48

CJ제일제당

문상권

팀장

49

한양대학교

김태현

교수

50

가톨릭대학교

주정찬

교수

51

지능형

로봇

현대로보틱스

송영훈

상무

52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

53

하이젠모터

김재학

대표이사

5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종형

교수

55

한국특허전략개발원

나희형

수석전문위원 

56

LG전자

백승민

상무

57

유진로봇

박성주

대표

58

엔젤로보틱스

손진호

CTO(이사)

59

경희대학교

김동한

교수

60

ETRI

김재홍

실장

61

첨단

제조

LG이노텍

강민석

부사장/CTO

62

건솔루션

김삼성

대표

63

유비씨

조규종

대표

64

경기대학교

장태우

교수

65

포항공대

조현보

교수

6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송병훈

센터장

67

케이씨엔씨

조정훈

연구소장

68

경희대학교

엄주명

교수

69

이노시뮬레이션

조준희

대표

70

한국공학대학교

송병준

교수

71

항공

방산

한국항공우주산업

신상준

상무

72

대한항공

김경남

부원장

73

LIG넥스원

김정열

연구소장

7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박희호

상무

75

한국항공대학교

배재성

교수

76

경북대학교

박태선

교수

7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재환

부장

78

건국대학교

이재우

교수

79

코오롱데크컴퍼지트

한진욱

상무

80

KAIST

김성수

교수

81

차세대 원자력

한국과학기술원

이정익

교수

82

iSMR사업단

김한곤

단장

83

한국원자력연구원

임채영

본부장

84

한국수력원자력

이우광

소장

85

서울대학교

한흥남

교수

86

한국재료연구원

송상우

실장

87

한국전력기술

장현영

스마트융합연구소장

88

한전원자력연료

최재돈

기술본부장

89

서울대학교

김국현

교수

90

고려대학교

김윤재

교수

91

첨단

바이오

유한양행

이동헌

수석연구원

92

CJ제일제당

신형규

상무

93

동국대학교

정성훈

교수

94

성균관대학교

안선주

교수

95

네이버클라우드

이상우

이사

96

분당서울대병원

조영재

교수

97

가천대학교

안성수

교수

98

비트컴퓨터

전진옥

대표

99

카카오헬스케어

이준영

이사

100

연세대학교

박성빈

교수

101

삼성물산

정기석

상무

102

LG화학

김노마

소장

1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양태헌

부원장

104

한국조선해양

유병용

상무

105

한국선급

노길태

수석연구원

106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정동호

본부장

10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박희호

팀장

108

한국전력공사

김두수

발전연구소장

109

인하대학교

김동섭

교수

110

중앙대학교

김민성

교수

111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장세동

연구소장

112

한국전력연구원

박기준

소장

113

가천대학교

손성용

교수

114

그리드위즈

김구환

대표

115

군산대학교

이상일

교수

116

두산에너빌리티

이정훈

수석

117

현대중공업

손진상

책임

118

한화큐셀

정규창

파트장

119

한국해양대학교

유경근

교수

120

광해광업공단

이진수

기술연구원장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산업부] 23살 전력시장의 현안, 청년과 함께 고민
다음글 [농림부] ‘건강한 흙, 행복한 지구’ 3월 11일은 ‘흙의 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