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제목 |
[산업부] 2023년도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신규과제 1차 공모 |
|||||||||||||||||||||||||||||||||||||||||||||||||||||||||||||||||||||||||||||||||||||||||||||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안정적 전력망 구축과 글로벌 ESS 시장 진출을 위해 1월 30일(월)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TF」 출범회의(Kick-off)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TF는 2023년 상반기 수립 예정인「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 관련 기관 및 산‧학‧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ㅇ 산업부 이호현 전력정책관 주재로 진행된 이날 회의는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 수립 방향 및 해외 정책 동향 등을 논의하였다.
□ 에너지스토리지는 전력저장을 통해 발전소 건설비, 송전선 설치비 등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등이 가능하여 전력시스템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ㅇ 글로벌 시장도 재생에너지와 연계하여 급격한 확대가 예상*되고 있으며, 2021년 110억불에서 2030년 2,620억불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미국 등 선진국들도 폭염‧한파 등 극한 기후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음에 따라 전력시스템에서 에너지스토리지 적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 (해외사례) 캘리포니아 순환정전(‘20.8월), 텍사스 대규모 정전(’21.2월), 미 동부 전력 비상사태(‘22.12월) 등
ㅇ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육성을 위해 기술개발, 규제개선 등 지원정책*을 통해 전력공급 안전성 강화와 신시장 선점을 추진 중이다.
* (美) 2030년까지 대규모 장기 에너지저장장치 비용 90% 감축 추진(Storage Shot, ‘21) (英) LDES 상업화 가속화를 위해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 시행(‘21, 1억달러 수준)
□ 산업부는 최근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유연하고 강건하며,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ㅇ 2036년까지 약 26GW의 에너지스토리지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최대 45.4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中 재생에너지 백업설비 소요비용 전망 >
* 기타 저장장치 소요비용은 BESS를 기준으로 전망, 기술개발 등에 따라 변동 가능
□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도‧호남 지역의 계통 불안정성 보완,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완화, 좌초자산화되는 석탄발전소 재활용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장주기‧대용량 에너지스토리지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ㅇ 우리나라에 적합한 다양한 ESS를 전력망과 연계하는 스토리지믹스 계획 마련, R&D, 실증 및 사업화 지원 등 에너지스토리지 생태계 조성, 나아가 국내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 임】 1.「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 수립 방향 2.「에너지저장산업 발전전략 수립 TF」구성 및 1차 회의 개요
□ 제주도(‘22.11월 누적 26.3%)‧호남(23.7%) 재생e 비중 확대에 따라 계통 불안전성 심화 및 재생e 과잉 출력시 출력제한 발생
* 제주도 출력제한(MWh) : (‘17) 1,300 → (’18) 1,366 → (‘19) 9,223 → (’20) 13,416
□ 주요 송전선로(동해안-신가평 HVDC 등) 건설이 지연되면서 발생하는 발전소 출력제한 문제 대두
* ESS를 계통 특정위치(변전소 등)에 설치하여 ‘가상송전선’ 역할 수행
□ 경직성 자원(재생e)이 확대되는 반면 유연성 자원(LNG) 비중은 축소됨에 따라 전력망 불안정성 증가 전망
※ 발전량 비중(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 :
가. 글로벌 시장 동향
□ ESS 시장규모는 ‘21년 110억불에서 ’30년 2,620억불까지 성장, 용도별로는 에너지시프트*(619GWh), 상업용(104GWh), 가정용(103GWh) 순
* 생산된 잉여전력을 저장하여 차액거래 또는 피크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용도
ㅇ 설치규모는 ’21년 기준 62GWh이며, 연평균 36.5% 증가하여 ’30년에는 1,028GWh 예상(BNEF, ‘22.1)
* 출처 : Global Energy Storage Outlook 2021(BloombergNFF, ‘22.1월)
□ 美‧EU 등은 ①ESS 보급 의무화, ②보조서비스(주파수 조정, 에너지시프트) 시장 운영, ③규제개선(승인기간 단축, 허가조건 완화) 등 지원정책 추진
ㅇ 특히, 미국은 재생e로 인한 전력망 취약성을 막기 위해 ESS 투자 추진 중
나. 국내 현황
□ 재생에너지 보급과 연계하여 10GWh 규모 ESS 설치하였으나, ’21년(2건)~‘22년(8건) ESS 화재가 다수 발생하며 관련 산업 침체
* 설치추이(GWh) : (~’17) 1 → (‘18) 3.8 → (‘19) 1.8 → (‘20) 2.8 → (‘21) 0.3 → (‘22) 0.2
ㅇ ‘14년부터 도입된 REC 지원, 전기요금 할인, 설치비 지원 등 ESS 설치지원 제도는 ’20년 이후 대부분 일몰
* 재생e 연계 REC 가중치(~’20) 4,852억원, 전기료 할인(~22) 10,227억원, 설치비지원(계속) 315억원
□ 태양광 연계형 단주기 소규모 ESS*, 한전 계통안정화용 ESS** 등 운영‧설치를 추진하고 있으나, 대용량‧장주기 ESS는 부족
* ‘22년 기준 태양광 연계형 ESS : 1,730개소 5,405MWh ** 신남원 변전소 등 6개소 880MWh 건설(’22~‘23년, 7,764억원) ※ 최대규모 설치 현황 - (태양광연계) : 안좌도 쏠라시티(전남 신안), 340MWh (‘20) - (피크저감) : KG동부제철(충남 당진), 174MWh (‘21)
□ 우리나라 장주기 에너지 저장기술은 상용화 정도, 원천‧부품소재 기술 수준, 실증 경험 등 전반적으로 선진국보다 열세
ㅇ 일부 기술(리튬이온전지, 양수 등)은 상용화 단계에 도달하였으나, 非리튬‧非전지(흐름전지, 압축공기저장 등)는 초기 기술개발단계
1 국내 전력망 구축을 위한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기반 마련
ㅇ 태양광‧풍력산업에서 중국·덴마크 등에게 우위를 허용한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 스토리지산업 육성을 위한 선제적 조치 필요
ㅇ 우리나라에 적합한 장주기‧대용량‧다양화(기계‧열 등) ESS를 검토하고 등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을 목표로 스토리지믹스 계획을 제시
2 핵심기술 개발과 제도 마련(PPA 연계 등)을 통해 시장창출 도모
ㅇ 경제성‧효율성‧친환경성을 높이고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학‧연 연계 R&D 및 실증사업 본격 추진
ㅇ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활성화를 위해 편익을 정량화‧서비스화하고 전력시장 제도와 연계
3 국내 산업화 역량을 축적하고 세계시장 진출 기회 창출
ㅇ 각국의 보급정책을 통해 글로벌 시장이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ESS 시공 경험을 보유한 국내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모색
□ (기본방향) 산・학・연 합동 TF를 구성하고「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 전략」을 검토, 전략 수립 이후 원활한 이행을 위한 기반 마련
□ (구성) 산업부 전력혁신정책관(주재), KETEP(간사), 산‧학‧연 전문가 등
□ (운영) 정책과제 발굴, 주제별 구체화 검토 등을 위해 수시 개최
ㅇ 과제별 KETEP・전문가 등이 발제하고, 참석기관이 토론하는 형식으로 운영
□ 에너지저장산업 발전 전략 수립 TF 개최 및 정책연구용역 추진(‘23.2월)
* (용역 내용) 저장원별 기술성숙도・제약조건・경제성・공급망 분석, 선진국 제도 및 시장 분석, 국내시장 활성화 방안 제언, 핵심기술 개발 및 기술확보 전략 마련 등
□ 산업생태계 구축방안 및 세계시장 진출전략 등을 포함한 중장기 계획으로「에너지저장 산업 발전 전략」 수립 (’23.上)
□ TF 개요
ㅇ (배경)「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 전략」수립을 위해 산・학・연 합동 TF를 구성하고, 해외 사례, 기술동향, 산업 육성방안 등 논의
ㅇ (구성) 산업부 전력정책관(주재), KETEP, 전력거래소, 산‧학‧연 전문가* 등
* (産) LS ELECTRIC 이진호 이사, (學) 서울대 김희집 교수, 고려대 주성관 교수
ㅇ (운영) 정책과제 발굴, 주제별 구체화 검토 등을 위해 수시 개최
* 과제별 KETEP・전문가 등이 발제하고, 참석기관이 토론하는 형식으로 운영
□ 1차 회의 개요
ㅇ (일시‧장소) ‘23.1.30(월) 10:00~11:30 / 에기평 1층 소회의실4
ㅇ (주요내용) 에너지저장산업 발전 전략 수립 방향
□ 세부 일정
|
||||||||||||||||||||||||||||||||||||||||||||||||||||||||||||||||||||||||||||||||||||||||||||||
파일 | ||||||||||||||||||||||||||||||||||||||||||||||||||||||||||||||||||||||||||||||||||||||||||||||
원문보기 | View Original> | |||||||||||||||||||||||||||||||||||||||||||||||||||||||||||||||||||||||||||||||||||||||||||||
분류 | 국내 정책동향 |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
이전글 | [산업부] 태양광 밀집지역 인버터 성능 개선…최대 비용 100% 보조 |
---|---|
다음글 | [산업부] 장관, 서호주 총리와 핵심광물·수소 협력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