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프로젝트 사례

[프로젝트사례] 상세보기
제목 Cost-benefit assessment of mitigation options in rice production for Vietnam

베트남의 쌀 생산에 대한 완화 옵션 편익효과 평가
Context
As in many other Asian countries, Vietnam's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INDC) explicitly mentions rice production as one of the targets for mitigation in the agriculture sector. However, the specifics of mitigation measures are only described in a very generic fashion. 
After COP 21 in Paris, rice producing countries like Vietnam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various options for reducing emissions as part of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Decision-makers at various levels are increasingly in need of information about options for mitigation in rice production to make informed decisions on the challenges posed by climate change.
Vietnam therefore asked for the CTCN's assistance to enable a wide range of stakeholders (from farming communities to policy makers) to assess costs/benefits of mitigation options as a means to prioritize suitable technologies for adoption and define investment portfolios and policies for Vietnam's rice production
배경
 다른 많은 아시아 국가들과 같이 베트남의 온실가스 감축 공약(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INDC)에서도 쌀 생산을 농업 부문에서의 완화 목표 중 하나로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완화 대처 방안의 구체적인 사항은 단지 일반적인 방식으로만 기술되어 있다.
 파리에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The Twenty-First session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21)가 열린 이후, 베트남과 같은 쌀 생산 국가들은 지속 가능한 개발 전략으로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다양한 옵션으로 관심을 돌렸다. 다양한 단계의 의사 결정자들은 점점 더 쌀 생산에서의 완화 옵션들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는 기후 변화로 인한 문제들에 대해 정보에 근거한 결정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베트남은 좀더 다양한 범위의 이해 관계자들이 (농업 공동체에서 정책 결정자까지) 채택을 위한 적절한 기술을 우선으로 하고, 베트남의 쌀 생산을 위한 투자포트폴리오와 정책을 기술하고자 하는 수단으로 완화옵션의 비용/혜택을 평가할 수 있도록 CTCN의 원조를 요청했다.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CTCN TA
Category CTCN TA
[프로젝트사례]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Capacity building in Timor-Leste's renewable energy sector
다음글 Strengthening national capacities to verify compliance with energy efficiency standards of electrical appliances in the Ecuadorian marke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