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정책연구 보고서

국내 주요 기후변화 대응 보고서와 발간물 자료를 제공합니다.

정책연구 보고서 상세보기
제목 [국가환경산업기술정보시스템] 중국 주간 환경뉴스 브리핑(CEB) 2023년 통합본 Part 1_정책·산업편
내용
(정책분야 중점내용) 2023년 1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주요 정책 중 기업 온실가스 배출, 오염물질 배출 모니터링 설비 표시, 중점 에너지 사용 제품 에너지 효율 제고 등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오염 감소,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 제고 분야 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추세로 파악됨.
특히 2023년 전국 생태환경보호작업회의에서 2023년 중점 추진 업무로 (1) 아름다운 중국 건설 적극적으로 추진 (2) 녹색 저탄소 고품질 발전 추진 (3) 오염방지공견전 시행 심화 (4) 생태환경안전 철저히 확보 (5)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에 대한 엄격한 관리감독 시행 (6) 생태환경보호 관리감독 및 법 집행 강화 (7) 현대 환경관리 시스템 개선 가속화 등을 제시하여 녹색 저탄소 발전 등 관련 분야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아울러 유럽 CBAM(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에 따른 중국 중점 산업 대응과 2030년 탄소배출정점 및 206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파악됨



(정책편 목차) 1-1. 2023년 1월부터 시행되는 중앙·지방 주요 환경 정책

1-2. 생태환경부 2023년 생태환경보호작업회의 업무보고

1-3. ‘에너지 소비’ 이중제어에서 ‘탄소배출 이중제어’ 전환 정책

1-4. 중국 탄소중립 정책동향 및 기업 탄소저감 인증

1-5. 2022년 중국 20개 지역 탄소저감 관련 정책동향

1-6. 에너지 절약, 탄소저감 및 재활용 관련 정책

1-7.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으로 인한 중국 주요 산업 영향

1-8. [참고자료#2] CBAM 중국 기업대응 및 장·단기 영향

1-9. <현대 석탄화학공업의 건전한 발전 촉진에 관한 통지>

1-10. 중국 화학공업 탄소중립 발전 로드맵

1-11. 중국 이산화탄소 배출규모 국가별·산업별 비교

1-12. 2023년 화학공업 저탄소 발전 관련 주요 정책

1-13. 시진핑 주석 <중앙전면심화개혁위원회> 강조내용 요약

1-14. ‘14.5’ 중국 환경보호 정책 및 2023 예산 동향

1-15. 2023.7.1.부터 중국 전국 범위 국6b 배출표준 시행

1-16. 국6 시행으로 인한 DPF 산업 발전 전망

1-17. 2023년 중국 양회(两会) 환경 관련 내용 정리

1-18. 2023년 양회 생태환경부장 기자회견 핵심내용 정리

1-19. 2023년 양회 탄소중립 관련 주요 인사 발언내용

1-20. 2023년 양회 개최 이후 국유기업 발전 전망

1-21. [2022년 양회 다시보기] 2022년 양회 정부업무보고

1-22. [2021년 양회 다시보기] 2021년 양회 정부업무보고

1-23. <중화인민공화국 황하보호법> 핵심내용 요약 정리

1-24. 중국 원자력 발전 관련 정책 및 산업동향

1-25. 중국 생태문명건설 발전방향 및 환경개선 동향

1-26. ‘14.5’ 기간 중국 농촌 환경 정책동향 및 산업 발전 전망

1-27. 2022년 환경오염물질 불법배출 및 데이터 조작 단속 사례

1-28. 상해 가정구 : 2023년 생태환경보호 및 건설 3년 행동방안

1-29.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생태환경부 질의응답

1-30. 중국 해관총서 일본 수산품 수입 전면 금지

1-31. 일본산 수산품 수입 금지로 인한 중국 영향 분석





(산업분야 중점내용) 2022년 포춘(Fortune, 미국의 종합 경제지)이 발표한 글로벌 500대 기업에는 중국 기업이 145개(대만 기업 9개사 포함)로 국가별 기업 수량은 1위를 차지하였음.

동 145개 중국 기업들은 환경위생, 도시환경, 고체폐기물 등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환경보호 분야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특히 중국 환경보호 기업들은 최근 들어 태양광, 수소에너지, 신에너지, 에너지 절약, 탄소저감제품 등 신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탄소저감에 대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각종 산업에서도 신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또한 전기차(电动载人汽车, 전기유인차량), 리튬배터리(锂电池), 태양전지(太阳能电池)를 뜻하는 이른바 ‘신3종(新三样)’이 중국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주력 산업으로 부상한 것은 중국 경제 변혁의 중대한 신호로 볼 수 있으며, 중국은 2030년 탄소배출정점 및 2060년 탄소중립 목표를 공표한 가운데, 전기차, 리튬배터리, 태양전지 산업은 향후 큰 시장기회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됨


(산업편 목차) 1-32. 중국 환경보호산업 2023년도 발전방향

1-33. 2022년도 중국 10대 환경보호산업 ‘뉴 블루오션’

1-34. 세계 500대 기업에 포함된 중국기업의 환경산업 분야 확대

1-35. 2022년 중국 500대 기업 중 27개 환경기업 리스트

1-36. 2022년 중국 50대 환경기업 리스트

1-37. 중국 500대 신경제기업 중 환경·에너지 관련 기업

1-38. 2023년 중국 환경보호산업 시장동향 및 발전전망

1-39. ChatGPT가 분석한 중국 환경보호 정책·산업

1-40. 2023년 1월 중국 환경보호산업 기업간 협력 동향

1-41. 중국 국유·중앙기업들의 환경보호산업 진출 확대

1-42. 중국 환경보호 검측 산업동향 및 발전전망[Part 1]

1-43. 중국 환경보호 검측 산업동향 및 발전전망[Part 2]

1-44. 중국 환경보호 검측 산업동향 및 발전전망[Part 3]

1-45. 2022년 중국 Top10 환경보호기업 경영동향

1-46. 2023년 중국 가정용 보일러 산업동향 및 발전전망

1-47. 중국 액화천연가스(LNG) 산업동향 분석

1-48. <중국 환경보호산업 발전동향 보고서(2022)>

1-49. <중국 환경보호산업 발전동향 보고서(2021)>

1-50. 중국 화학산업분야 기업 탄소중립 추진 동향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바랍니다.



태그
#중국 #환경뉴스 #정책동향 #산업동향
파일
원문보기
출처 국가환경산업기술정보시스템(KONETIC)
정책연구 보고서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국가녹색기술연구소] [Greenovation I&I] 탄소중립을 위한 인공지능, 그린 AI(Green AI)의 역할
다음글 [GTonline] 아세안 FDI와 EV 공급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