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Global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제기구 소식과 해외 주요국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Global NEWS 상세보기
제목 한국 ‘2035년, 신재생 세계 발전량의 30%’
오는 2035년에는 신재생 에너지가 전 세계 발전량의 30%를 차지하는 등 최대 에너지원으로 부상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또한 세계 에너지 수요도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으며, 원자력은 발전용량은 증가하지만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5년까지의 세계 에너지 시장을 예측 분석한 ‘2012 세계에너지 전망’ 보고서를 12일(한국시각) 영국 런던에서 발표했다. 세계에너지전망은 국제에너지기구가 매년 발간하는 보고서로, 에너지 정책과 관련 산업을 전망하는데 중요한 참고가 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는 올해 보고서에서는 발전량의 3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엔 ‘신재생에너지가 2035년 전 세계 발전량의 1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보고서는 “신재생에너지는 2015년 석탄에 이은 두 번째 발전원으로, 2035년에는 최대 발전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바이오에너지와 태양광이 빠른 발전 속도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보고서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은 880억달러(2010년)에 달하는 각국의 보조금에 기인하는 만큼, 앞으로 설비용량 증가와 비용 변동을 고려해 정부와 소비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수준의 보조금 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원자력에 대해서는 후쿠시마 사고 후 중국, 인도, 러시아, 한국 등 주요국들이 원전정책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원자력 발전 용량은 증가하지만, 증가 속도와 비중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기구는 지난해엔 원자력에 대해 “2035년에도 현재수준인 발전 비중의 13%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IEA는 또 중국과 인도, 중동지역의 에너지 소비가 늘면서, 세계 에너지 수요도 3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오일샌드와 셰일오일 등 비전통석유의 공급이 늘어나지만, 신흥국의 도로 운송수단 증가로 석유 소비 또한 늘어나면서, 유가는 배럴당 125달러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오는 2030년에는 이라크가 세계 제 2위 석유수출국이 되면서, 세계 석유시장의 가장 큰 변수가 되고, 셰일가스 개발에 힘입어 미국이 석유 수출국으로 전환될 것이란 전망이다.


IEA는 또 2035년에는 가스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셰일 가스와 같은 비전통가스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또 미국이 사우디 아라비아와 러시아를 제치고 오는 2017년까지 세계 최대 원유 생산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의 1위 등극을 전망한 것은 IEA가 처음이다.


IEA는 최근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셰일가스 생산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데다 심해 유전과 가스전 개발도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실제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올 연두교서에서 셰일가스 생산을 적극 지원, 액화천연가스(LNG) 산업을 핵심적인 미래 산업으로 육성하고 2016년부터는 미국을 LNG 순수출국으로 전환시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IEA에 따르면 현재 총 에너지의 20% 정도를 수입하고 있는 미국이 현재 하루 1000만배럴에 이르는 수입량을 10년내에 400만배럴 수준까지 줄일 것으로 전망했다. 

오는 2030년내에 에너지를 완전하게 자급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른 뒤 2035년에는 순수출국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때문에 세계 에너지 교역의 중심은 북미쪽에서 아시아로 방향 전환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전망이 현실화된다면 세계 원자재 시장과 에너지의 지정학적 구조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 20여년간 중요한 국제 해로와 공급 루트를 지켜온 미국의 역할을 중국이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오는 23일 마리아 반 더 호벤 IEA 사무총장을 초청해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을 심층 분석하는 국가 보고서 발표행사를 개최한다.


출처;2012.11.13. 에너지데일리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Category
파일
출처
Global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한국 국토부, 알제리와 수자원분야 협력강화
다음글 대한민국 그린에너지 에너지 기술 한 자리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