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국외동향

Global NEWS 상세보기
제목 [유망] 인도 태양광 셀 및 LED 시장 (HS854140)
- 인도정부의 공격적인 신재생에너지 확충 정책에 따른 견조한 수요
-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과도한 의존. 인도정부의 수입규제 정책을 눈여겨 볼 필요

□ 품목수요 동향
○ 태양력 발전용 셀 수요

- 2015년 6월, 인도 정부는 2022년까지 신재생 에너지 발전용량 175GW를 확보하겠다고 하였으며, 이중 100GW는 태양력발전임.

- 이러한 정책목표에 의거하여 인도정부는 태양력발전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2017년의 경우 3월 31일 이래 9개월 만에 4763.54MW를 추가 확보하여 12월말 기준 발전용량은 17052.37MW에 이름.

- 인도의 태양력 발전소에 사용되는 장비의 90% 이상이 수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7년 기준 인도의 태양광 셀 및 모듈 수입액은 41.2억 달러(2,690억 루피)로, 전년도 28.8억 달러(약 1,940억 루피) 대비 43% 증가하였음. 주요 수입대상국은 중국(88.2%), 말레이시아(5.9%), 대만(2.2%) 등임.
○ 인도의 LED 수요
- Market Research Future(MRFR)는 세계 산업 조명 시장이 2017-2023년 기간동안 연평균 8% 성장할 것이며, 시장 가치는 2023년까지 약 1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함. IMARC Group에 의하면, 인도의 LED 조명 시장은 2010-2017년 동안 연평균 약 52% 성장하여, 2017년 기준 시장규모는 15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남.

- 인도 정부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7억 7000만 개의 전구와 3천 5백만 개의 가로등을 교환, 신규 배치하고 기존 조명을 LED 조명으로 대체하는 사업(UJALA)을 진행하고 있음. 정부에 의하면 2018년 6월 25일까지 배포된 LED 수량은 301,988,044개에 이름.

□ 수입 및 경쟁동향
○ 중국이 압도하는 가운데, 최근 한국산 유입 증가

- GTA에 따르면 2017년 인도의 태양광 반도체 및 LED(HS854140) 수입액은 2016년 대비 42.88% 증가하였음. 중국이 최대 수입대상국인 가운데, 금년 1분기에는 수입 점유율 89.65%로 시장점유율을 보다 확대하고 있음.

- 한국의 수입점유율은 아직 1% 미만이나, 금년 1분기 수출 점유율을 크게 확대(2017년 0.43% → 0.68%)하였음.


* 더욱, 자세한 내용은 원문 사이트 참고 바랍니다.

작성자 : KOTRA 뉴델리 무역관 Jaya Soin S.Mng.
출처 : GTA, 인도 세이프가드 총국, BIS, 인도 태양광 및 LED 제조업체 홈페이지 등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외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
파일
출처
Global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요르단 정밀화학원료(DOP) 시장동향
다음글 Yooshin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