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무·저공해자동차 개발 어디까지 왔나?

무·저공해자동차사업의 국·내외 추진동향을 파악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무·저공해자동차사업단(단장 정용일)은 오는 10∼11일 양일간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2008 무·저공해자동차사업 국제심포지움'을 개최한다.



올해까지 네 번째 열리는 행사에는 친환경자동차기술분야 전문가를 초빙해 국·내외 선진 자동차 기술동향을 살펴보게 된다. 아울러 현재 무·저공해자동차사업을 일선에서 추진 중인 연구기관(자동차제작사 및 부품사)간 기술교류를 통해 추진 중인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계기를 제공하게 된다.



이번 행사에는 환경부, 한국환경기술진흥원의 사업진행 관계자, 무·저공해자동차사업 추진 관계자, 관련 학계 및 자동차산업계, 일반참가자 등 약 200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첫째 날인 10일 전문가 심포지움에는 미국 G.M사 오세혁 박사의 'Aftertreatment Options and Challenges for Next-Generation Fuel-Efficient Vehicles'의 전문가발표를 시작으로 일본 와세다대학 야스히로다이쇼 교수의 'Advanced Low-Emission and Energy-Efficient Motor Vehicle Technologies for the Next Two Decades', 오스트리아 AVL사의 Hubert Friedl 박사의 'Development Highlights for Fuel Efficient Powertrain with Gasoline Engines', SK 에너지(주) 조인호 상무의 'The Trends of Automotive Fuels in Korea', 환경부 심무경 교통환경과장의 'Policy and Strategy for Pollution Reduction in Vehicle'의 전문가 발표에 이어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자동차극미세입자평가실태에 관한 발표로 진행된다.



11일에는 현재 무·저공해자동차사업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경유차후처리기술, 저공해자동차기술 및 공통기반기술 등 기술교류 발표회가 열린다. 또 행사기간 중에는 무·저공해자동차사업의 그간 연구성과를 돌아 볼 수 있는 성과물이 전시된다.



무·저공해자동차사업은 지난 2004년 12월부터 노는 2011년까지 6년 6개월 동안 추진된다. 대도시 대기오염의 주원인인 매연 등을 저감하기 위한 매연여과장치 등 경유차후처리기술 및 저공해 CNG/LPG 자동차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출처 : 2008-11-06 에코저널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행사
Category Korea
출처 국가환경산업기술정보시스템(KONETIC)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충남도, 에너지절약 대책 '강화'
다음글 수도권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급속 보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