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기재부] [보도참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전망(Economic Outlook) 발표

경제협력개발기구,
금년 한국 경제성장률 2.6%(+0.4%p 상향), 물가상승률 2.6%(△0.1%p 하향) 전망

- 「경제협력개발기구 경제전망(Economic Outlook)」 발표(부제: An unfolding recovery) -

-금년 한국 성장률 전망은 국민소득 2만불 이상의 주요 20개국 중 가장 높은 수치 -

-금년 한국 물가상승률 전망은 경제협력개발기구 및 주요 20개국 평균 크게 하회 -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는

5.2일(목) 9:00(프랑스 파리 기준, 한국시각 16:00, 국제엠바고)에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오늘 발표된 경제전망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OECD는 매년 2회의 본전망(OECD 회원국 대상), 2회의 중간전망(주요 20개국<G20> 대상)을 발표

 

【세계경제】   

 

  경제협력개발기구는 세계경제가 저점을 지나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23년 성장률은 당초 예상(‘23.11월 전망, 2.9%)을 상회하는 3.1%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양호한 고용, 인플레이션 둔화, 글로벌 교역 개선 등에 기인한다고 분석하였다. 다만, 미국과 신흥국이 견조한 성장세를 보인 것과 달리 유럽은 에너지 위기 여파 등으로 성장이 정체되는 등 경기회복 속도는 국가별로 상이한 양상이라고 언급하였다.

 

  한편 세계경제 성장 흐름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세계경제 성장률을 '24년 3.1%(‘24.2월 전망 대비 +0.2%p), '25년 3.2%(+0.2%p)로 예측하였다. 물가상승률은 공급측 압력이 완화되며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았으며, 주요 20개국 기준 '24년 5.9%(△0.7%p), '25년 3.6%(△0.2%p)로 전망하였다.

 

  성장경로 상 위험요인은 점차 완화되고 있으나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당하다고 강조하며, 지정학적 리스크, 고물가·고금리 영향 장기화, 금리인하 지연 시 자산시장 위축 소지, 중국경제 회복 지연 가능성 등을 불안요인으로 지적하였다.

 

【한국경제】

 

  한편, 한국경제는 일시적 소강국면(Soft patch)에서 벗어나 성장세가 강화(Growth is projected to strengthen)될 것으로 보았으며, 성장률을 '24년 2.6%, '25년 2.2%로 전망하였다. 반도체 수요 회복에 따른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고금리·고물가 영향으로 미약했던 내수도 하반기 이후 금리인하와 함께 회복될 것으로 보았다. 3% 근처의 물가는 연말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하며 물가상승률을 ’24년 2.6%, '25년에는 목표수준(2.0%)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와 함께 경제협력개발기구는 빠른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노동·연금 등의 구조개혁을 권고하며, 구체적 방안으로는 재정준칙 도입, 외국인력 유입 확대, 청년고용 확대, 노후 보장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연금개혁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품시장 규제 혁신, 중소기업 지원 간소화 등을 제언하며, 이를 통해 대-중소기업간 생산성 격차를 축소하고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완화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 추진과 기후대응 노력 강화도 함께 권고하였다.

 

【의미 및 평가】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전망에 따르면, 한국경제는 강하고 지속적인 회복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물가도 2%대로 점차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전망은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실적과 4월 소비자물가 동향 등을 통해 확인된 우리 경제의 뚜렷한 회복 신호 및 물가 둔화흐름과도 부합하는 결과이다.

 

  ➊ (강한 회복세) 한국의 '24년 성장률 전망(2.6%)은 주요 20개국 중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불 이상인 국가 중에서는 미국과 함께 가장 높은 수치이며, 경제협력개발기구 전체 38개국 회원국 중에서는 4번째에 해당한다.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이상 회원국 중에서는 미국과 공동 1위)

 

  기존 전망(‘24.2월) 대비 성장률 전망 상향폭(+0.4%p)은 주요 20개국 중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불 이상인 국가 중에서는 미국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준이며(전체 주요 20개국 중 4위), 세계성장률 전망 상향폭(+0.2%p)을 상회한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가 금년 한국경제의 당초 예상보다 강한 회복흐름을 전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➋ (지속가능성) ‘25년 성장률 수준(2.2%)도 주요 20개국 중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불 이상인 국가 중 사우디아라비아 다음으로 호주와 함께 가장 높은 수치에 해당하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가 세계교역 개선세 등에 힘입은 수출의 견조한 흐름과 내수 회복의 뒷받침을 통해 한국 경제의 성장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➌ (물가 안정화) 한국의 물가상승률 전망(2.6%)은 경제협력개발기구(5.0%) 및 주요 20개국 평균(5.9%)을 크게 하회하는 가운데, ’24년 전망은 기존 전망(‘24.2월) 대비 △0.1%p 하향 조정되었다. 또한, '25년에는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0%로 회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물가 안정기조가 확고히 안착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담당 부서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책임자

과  장

김귀범

(044-215-2730)

 

 

담당자

사무관

박철희

(pch0105p@korea.kr)

 

 

 

사무관

성지현

(jeeeee629@korea.kr)

 

 

참고 1

 

 「경제협력개발기구 경제전망」(성장률, G20 국가)

 

(%, %p)

‘23년

’24년 전망

‘25년 전망

전망시점

‘24.2월

‘24.5월

조정폭

‘24.2월

‘24.5월

조정폭

전세계

3.1

2.9

3.1

0.2

3.0

3.2

0.2

G20

3.4

2.9

3.1

0.2

3.0

3.1

0.1

유로존

0.5

0.6

0.7

0.1

1.3

1.5

0.2

 

 

 

 

 

 

 

 

호주

2.0

1.4

1.5

0.1

2.1

2.2

0.1

캐나다

1.1

0.9

1.0

0.1

1.9

1.8

△0.1

독일

△0.1

0.3

0.2

△0.1

1.1

1.1

-

프랑스

0.9

0.6

0.7

0.1

1.2

1.3

0.1

이태리

1.0

0.7

0.7

-

1.2

1.2

-

스페인

2.5

1.5

1.8

0.3

2.0

2.0

-

일본

1.9

1.0

0.5

△0.5

1.0

1.1

0.1

한국

1.3

2.2

2.6

0.4

2.1

2.2

0.1

멕시코

3.2

2.5

2.2

△0.3

2.0

2.0

-

튀르키예

4.5

2.9

3.4

0.5

3.1

3.2

0.1

영국

0.1

0.7

0.4

△0.3

1.2

1.0

△0.2

미국

2.5

2.1

2.6

0.5

1.7

1.8

0.1

 

 

 

 

 

 

 

 

아르헨티나

△1.6

△2.3

△3.3

△1.0

2.6

2.7

0.1

브라질

2.9

1.8

1.9

0.1

2.0

2.1

0.1

중국

5.2

4.7

4.9

0.2

4.2

4.5

0.3

인도

7.8

6.2

6.6

0.4

6.5

6.6

0.1

인도네시아

5.0

5.1

5.1

-

5.2

5.2

-

러시아

3.6

1.8

 2.6

0.8

1.0

1.0 

-

사우디

△0.7

2.4

 △0.2

△2.6

4.2

 4.1

△0.1

남아공

0.6

1.0

1.0

-

1.2

1.4

0.2

 

 

참고 2

 

 「경제협력개발기구 경제전망」(소비자물가, G20 국가)

 

(%, %p)

‘23년

’24년 전망

‘25년 전망

전망시점

‘24.2월

‘24.5월

조정폭

‘24.2월

‘24.5월

조정폭

G20

6.3

6.6

5.9

△0.7

3.8

3.6

△0.2

유로존

5.4

2.6

2.3

△0.3

2.2

2.2

-

 

 

 

 

 

 

 

 

호주

5.6

3.5

3.4

△0.1

2.8

2.9

0.1

캐나다

3.9

2.6

2.4

△0.2

1.9

2.1

0.2

독일

6.0

2.6

2.4

△0.2

2.0

2.2

0.2

프랑스

5.7

2.7

2.3

△0.4

2.1

2.0

△0.1

이태리

5.9

1.8

1.1

△0.7

2.2

2.0

△0.2

스페인

3.4

3.3

3.0

△0.3

2.5

2.3

△0.2

일본

3.3

2.6

2.1

△0.5

2.0

2.0

-

한국

3.6

2.7

2.6

△0.1

2.0

2.0

-

멕시코

5.5

4.1

4.5

0.4

3.2

3.1

△0.1

튀르키예

53.9

49.3

55.5

6.2

30.5

28.9

△1.6

영국

7.3

2.8

2.7

△0.1

2.4

2.3

△0.1

미국

3.7

2.2

2.4

0.2

2.0

2.0

-

 

 

 

 

 

 

 

 

아르헨티나

134.5

250.6

208.1

△42.5

64.7

71.2

6.5

브라질

4.6

3.3

4.0

0.7

3.0

3.3

0.3

중국

0.3

1.0

0.3

△0.7

1.5

1.3

△0.2

인도

5.3

4.9

4.3

△0.6

4.3

4.2

△0.1

인도네시아

3.7

2.5

2.9

0.4

2.5

2.9

0.4

러시아

7.4

7.2

 7.4

0.2

5.3

4.7 

△0.6

사우디

2.3

2.0

 1.7

△0.3

2.1

2.0

△0.1

남아공

5.9

4.8

5.3

0.5

4.6

4.6

-

 

 

참고 3

 

 「경제협력개발기구 경제전망」(성장률, OECD 회원국)

 

(%)

‘21년 실적

‘22년 실적

‘23년 전망

‘24년 전망

‘25년 전망

호주

5.5

3.9

2.0

1.5

2.2

오스트리아

4.4

4.8

△0.7

0.2

1.5

벨기에

6.9

3.0

1.5

1.3

1.4

캐나다

5.3

3.8

1.1

1.0

1.8

칠레

11.5

2.1

0.3

2.3

2.5

콜롬비아

10.8

7.3

0.6

1.2

3.3

코스타리카

7.9

4.6

5.1

3.6

3.9

체코

3.5

2.4

△0.2

1.1

2.4

덴마크

6.8

2.7

1.9

2.3

1.5

에스토니아

7.4

△0.5

△3.1

△0.4

2.6

핀란드

2.8

1.3

△1.0

△0.4

1.9

프랑스

6.4

2.5

0.9

0.7

1.3

독일

3.1

1.9

△0.1

0.2

1.1

그리스

8.3

5.7

2.0

2.0

2.5

헝가리

7.1

4.6

△0.9

2.1

2.8

아이슬란드

5.1

8.9

4.1

1.9

2.8

아일랜드

14.7

9.6

△3.3

0.9

2.9

이스라엘

9.3

6.4

1.8

1.9

4.6

이탈리아

8.3

4.1

1.0

0.7

1.2

일본

2.6

1.0

1.9

0.5

1.1

한국

4.3

2.6

1.3

2.6

2.2

라트비아

6.7

3.0

△0.3

1.8

2.9

리투아니아

6.3

2.4

△0.3

1.7

3.1

룩셈부르크

7.2

1.4

△1.1

1.4

2.6

멕시코

5.7

3.9

3.2

2.2

2.0

네덜란드

6.2

4.4

0.2

0.7

1.3

뉴질랜드

5.9

2.2

0.6

0.8

1.9

노르웨이

3.9

3.0

0.5

0.8

1.8

폴란드

6.9

5.9

0.1

2.9

3.4

포르투갈

5.7

6.8

2.3

1.6

2.0

슬로바키아

4.8

1.9

1.6

2.1

2.7

슬로베니아

8.2

2.5

1.6

2.3

2.7

스페인

6.4

5.8

2.5

1.8

2.0

스웨덴

5.9

2.7

0.0

0.6

2.6

스위스

5.4

2.7

0.8

1.1

1.4

튀르키예

11.4

5.5

4.5

3.4

3.2

영국

8.7

4.3

0.1

0.4

1.0

미국

5.8

1.9

2.5

2.6

1.8

 

 

 

 

 

 

OECD회원국

6.0

3.0

1.7

1.7

1.8

세계

6.4

3.4

3.1

3.1

3.2

 

 

참고 4

 

 「경제협력개발기구 경제전망」(소비자물가, OECD 회원국)

 

(%)

‘21년 실적

‘22년 실적

‘23년 전망

‘24년 전망

‘25년 전망

호주

2.8

6.6

5.6

3.4

2.9

오스트리아

2.8

8.6

7.7

3.7

2.9

벨기에

3.2

10.3

2.3

3.6

1.9

캐나다

3.4

6.8

3.9

2.4

2.1

칠레

4.5

11.6

7.6

3.9

3.3

콜롬비아

3.5

10.2

11.7

6.5

4.3

코스타리카

1.7

8.3

0.5

0.4

2.2

체코

3.8

15.1

10.7

2.4

2.1

덴마크

1.9

7.7

3.3

2.1

2.4

에스토니아

4.5

19.4

9.1

3.9

2.1

핀란드

2.1

7.2

4.3

1.1

1.8

프랑스

2.1

5.9

5.7

2.3

2.0

독일

3.2

8.7

6.0

2.4

2.2

그리스

0.6

9.3

4.2

3.0

2.3

헝가리

5.1

14.6

17.1

4.0

3.9

아이슬란드

4.4

8.3

8.7

5.6

3.3

아일랜드

2.4

8.1

5.2

2.0

2.0

이스라엘

1.5

4.4

4.2

2.5

2.5

이탈리아

1.9

8.7

5.9

1.1

2.0

일본

△0.3

2.5

3.3

2.1

2.0

한국

2.5

5.1

3.6

2.6

2.0

라트비아

3.2

17.2

9.1

1.7

2.4

리투아니아

4.6

18.9

8.7

1.8

2.6

룩셈부르크

3.5

8.2

2.9

2.3

3.0

멕시코

5.7

7.9

5.5

4.5

3.1

네덜란드

2.8

11.6

4.1

2.8

2.3

뉴질랜드

3.9

7.2

5.7

3.2

2.4

노르웨이

3.5

5.8

5.5

3.9

2.8

폴란드

5.1

14.4

11.5

3.9

4.5

포르투갈

0.9

8.1

5.3

2.4

2.0

슬로바키아

2.8

12.1

11.0

2.9

3.3

슬로베니아

2.0

9.3

7.2

3.3

3.5

스페인

3.0

8.3

3.4

3.0

2.3

스웨덴

2.2

8.4

8.5

3.6

2.1

스위스

0.6

2.8

2.1

1.5

1.4

튀르키예

19.6

72.3

53.9

55.5

28.9

영국

2.6

9.1

7.3

2.7

2.3

미국

4.2

6.5

3.7

2.4

2.0

 

 

 

 

 

 

OECD회원국

3.8

9.5

6.9

5.0

3.4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기획재정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환경부] 2023 환경백서 발간…정책성과 한눈에
다음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맹그로브숲 국제공동연구 본 궤도에 올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