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산업부] 수소·연료전지 분야 국제표준 선점을 위해 민관이 함께 뛴다

 

수소·연료전지 분야 국제표준 선점을 위해 민관이 함께 뛴다

수소·연료전지 기업과 국제표준화 추진방안 논의 및 의견 청취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은 3.19.(화),“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실현”의 국정목표*에 기여하는 수소·연료전지 분야 국제표준화 활동 강화를 위해 관련 기업 간담회 개최 및 현장 방문을 통해 업계와 소통의 장을 마련하였다.

 

   * '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40%감축 (120대 국정과제 86.)

 

  이번 간담회에서 국표원은 수소·연료전지 표준화 추진현황* 및 정책방향을 공유하고 국제표준화에 참여하고 있는 우리기업의 활동현황**과 건의사항을 청취하였다.

 

   * KS 제정 23건, KS 인증품목 지정 14종, 국제표준 제안 9건 등

   ** ISO/TC197/WD 13984 (액체수소-육상차량 연료공급 시스템 인터페이스) 개정안 작업반(WG35)에 일진하이솔루스, 현대차, 원자력연구원 등 국내 전문가 10명이 참여 등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는 “수소·연료전지 분야 기술발전 및 시장형성이 초기단계임을 고려하여, 액화수소 저장·운송, 수소 모빌리티 등 미래 핵심 분야에서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통해 세계(글로벌) 시장에서 수출 교두보를 마련해 줄 것”을 건의하였다.

 

  이에 진종욱 국표원장은 “오늘 논의를 바탕으로 수소·연료전지 업계에서 국제표준화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업에 대한 국제표준화 활동지원을 확대하고, 우리기술의 국제표준을 선점을 위한「수소기술 국제표준화 포럼」을 신설 및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담당 부서

표준정책국

책임자

과  장

김종윤

(043-870-5370)

기계융합산업표준과

담당자

주무관

손성수

(043-870-5376)

 

 

붙임 1

 

 완주 수소·연료전지 관련 시설 현장방문 개요

 

□ 추진 목적

 

 ㅇ 완주지역 수소·연료전지 관련 기업지원 시설 및 기업 방문,
수소·연료전지 표준화 정책 관련 현장 의견 청취 및 표준화 참여독려

 

□ 방문 개요

 

 ㅇ 일시: 2023. 3. 19.(화) 오후 1:30 ~ 3:30

 

 ㅇ 장소: 일진하이솔루스(수소 연료탱크 제조), 가온셀(연료전지 지게차), 비나텍(연료전지 제조)

 

 ㅇ 참석자: 국가기술표준원 진종욱 원장, 우석대 이홍기 교수(IEC/TC105 의장), 전북지역 수소·연료전지 업계 관계자 등

 

□ 세부 계획

 

시간

내용

13:30~13:35 (5’)

□ 환담

13:35~14:10 (35’)

□ 수소·연료전지 표준화 추진현황 및 정책방향 공유

   (발표 15분 및 토의 20분)

14:10~14:30 (20’)

□ 일진하이솔루스 R&D센터 시찰

14:30~14:40 (10’)

(이동) 일진하이솔루스 R&D센터 → 가온셀 공장 (이동시간:10분)

14:40~15:00 (20’)

□ 가온셀 공장 시찰

15:00~15:10 (10’)

(이동) 가온셀 공장 → 비나텍 공장 (이동시간:10분)

15:10~15:30 (20’)

□ 비나텍 공장 이동 및 시찰

 

 

붙임 2

 

 수소경제 표준화 추진전략 이행

 

 

□ 주요 추진 사항

 

 

 

구 분

추진 목표(‘30)

추진 실적(24.1. 기준)

국제표준안 개발

및 제안

◇ 수소차 부품, 수전해, 액체수소 등 총 18종 개발

◇ 이동식 수소충전소, 수전해 분야 등 제안 7건, 발간완료 2건

표준화 전주기

지원

◇ 표준안 개발·제안·등록의 전주기 지원 총20건

◇ 굴착기용 연료전지/이차전지 분야 등 표기력 과제 6건 지원

국제협력 강화

◇ 2030년까지 의장·간사·컨비너 총 7명 배출

◇ IEC/TC 105(연료전지) 의장 1건, 컨비너 수임 6건

◇ 연료전지(IEC/TC105) 총회(‘22),
수소기술(ISO/TC197) 총회(’24)

·

주요표준 부합화

◇ 기체수소 충전소 일반요구사항,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환경성능평가방법 등  KS 51종 제정

◇ 28건 부합화 완료(~‘23), 10건 예정(~’25)

KS 인증 품목 확대 및 실증

◇ 수소 충전소 부품, 건물·가정용 연료전지 분야 KS인증 품목 30개 지정

◇ KS인증 품목 14종 지정(연료전지, 수소충전소용 밸브 등), 2종 추가 지정 예정(~24)

기업

 지원

중소·중견기업

표준활동 지원

◇ 수소·연료전지 분야 중소·중견 기업 기술 국제표준화 지원 50개 업체

◇ 지원업체수 (‘20) 1개 → (’23) 6개(누적)

수소경제

표준포럼

운영

◇ 표준포럼 연간 4회 개최

◇ 표준포럼 전문가 풀 확대 100명 이상

◇ 수소경제표준포럼 운영,
국제컨퍼런스 개최(‘19~)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환경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 관련 은행장 간담회 개최
다음글 [환경부] 기업의 지속가능성 공시 부담 줄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