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환경부] 다부처 기후적응 전문가 모여 적응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협력 추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환경부_국_좌우_기본형.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0pixel, 세로 114pixel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11. 27.(수) 12:00 (목요일 조간)

배포

2024. 11. 26.(화)

 

 

다부처 기후적응 전문가 모여

적응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협력 추진

- 개정된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통합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보 협력 강화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기후 적응정보를 일괄 제공하는 통합플랫폼의 구축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제5회 ‘국가 기후위기 적응연구 협의체’ 토론회를 11월 28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제주시 서귀포 소재)에서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개정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하 탄소중립기본법)’의 시행(2025.10.23)을 앞두고 국내외 전문가를 비롯해 적응정보 관련 기관에서 총 100여 명이 참석한다. 이들 전문가들은 ‘기후위기 적응정보 표준화와 정책활용도 제고를 위한 협력 방안’을 주제로 ‘국가 기후위기 적응 정보통합플랫폼(이하 통합플랫폼)’의 정보연계와 다부처 공동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를 진행한다.

 

  통합플랫폼은 ‘탄소중립기본법’ 개정(2024.10.22)에 따라 2025년부터 2028년까지 구축되며 기존에 부처별로 각각 제공 중인 폭염, 홍수 등의 기후위기 정보와 농·수산물 생산량 변화 등의 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맞춤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일괄(원스톱) 서비스 제공 형태로 구축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립환경과학원과 물, 농업, 산림, 생태, 수산, 해양 등 10개 부문의 전문기관은 지난 2022년 9월 6일에 협의체*를 발족하고, 매년 반기별로 토론회를 개최해 오고 있으며, 그간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공동연구논문집**을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기상과학원,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산과학원,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생태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자원공사

  ** 공동연구논문집 제2호(기후변화학회지 15권5-2호, 특별호, 2024. 10. 31)

 

 

  이번 토론회에서는 △적응정보 표준화와 통합플랫폼 구축·운영 방안(국립환경과학원), △국가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및 적응을 위한 과학정보 제공(국립기상과학원), △농업분야 적응우수 사례 및 적응정보 정책활용성 제고 방안(국립농업과학원), △산림‧임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의 시사점(국립산림과학원), △수산분야 적응정보 생산과 정책활용성 제고방안(국립수산과학원), △연안부문 적응정보 생산과 정책활용성 제고방안(국립해양조사원)의 발제가 있을 예정이다.

 

  뒤이어 △한라산 구상나무 개체군 변화 분석을 통한 기후위협인자 도출(국립생태원), △농업용수 부문 적응정보 활용 및 향후 계획(한국농어촌공사), △보건부문 기후위기 적응사례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가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 물정보 표준화 방안(한국수자원공사) 발표가 이어진다. 기관별 발표가 끝난 후에는 이대균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장이 사회를 맡아 발제자들과 종합토론을 진행한다.

  

  유명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탄소중립기본법의 개정으로 전 부처가 기후적응 통합정보체계 마련을 위해 함께 협력하게 되었다”라면서, “기후위기의 영향, 취약지역, 대책 등을 시각화하고 적응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대국민 재난예방과 적응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통합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 제5회 국가 적응연구협의체 토론회 프로그램.

      2.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 개정(’24.10.22)에 따른 전문용어 설명.  끝.

 

 

담당 부서

국립환경과학원

지구환경연구과

책임자

과  장

이대균

(032-560-7300)

담당자

연구관

진형아

(032-560-7309)

연구사

오윤영

(032-560-7318)

 

환경부

기후적응과

책임자

과  장

원지영

(044-201-6950)

담당자

사무관

권정현

(044-201-6965)

주무관

박인희

(044-201-6967)

 

 

 

붙임 1

 

제5회 국가 적응연구협의체 토론회 프로그램

○ (일시) ’24. 11. 28.(목) 10:30~12:30 (’24년 하반기 기후변화학회 기획세션)

○ (장소) 제주국제컨벤션센터 E발표장 (203호)

○ (참석자)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국내외 전문가 등 100여 명 

○ (내용) 기후위기 적응정보 표준화와 정책활용도 제고를 위한 협력 방안

 

시간(소요)

제목 및 발표자

10:30∼10:35

5‘

개회사

10:35∼10:40

5‘

참석자 소개 및 기념촬영

10:40∼12:20

각 10‘

국가 적응정보 표준화와 통합플랫폼 구축·운영 방안

국립환경과학원

오윤영 연구사

국가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및 과학정보 제공

국립기상과학원 정주용 연구관

국립농업과학원 적응정보 정책활용성 제고방안

국립농업과학원 최순군 연구사

산림‧임업부문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의 시사점

국립산림과학원 박고은 연구사

수산분야 적응정보생산과 정책활용성 제고방안

국립수산과학원 김창신 연구사

연안부문 적응정보생산과 정책활용성 제고방안

국립해양조사원 이화영 연구사

한라산 구상나무 개체군 분석을 통한 기후위협인자 도출

국립생태원 한아름 선임연구원

농업용수 부문 적응정보 활용 및 향후계획

한국농어촌공사 송석호 차장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기후위기 적응사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채수미 센터장

국가 통합물관리정보플랫폼 물정보 표준화 방안

한국수자원공사 손예주 과장

12:20∼12:30

10‘

종합토론 및 폐회

(좌장) 이대균 국립환경과학원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장

 

 

 

붙임 2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개정(’24.10.22)에 따른 전문용어 설명

 

○ 기후위기 적응정보(제2조 제11의2호)

   기후변화가 생태계, 생물다양성, 대기, 물환경, 보건, 농림ㆍ식품, 산림, 해양ㆍ수산, 산업, 방재 등에 미치는 영향, 취약성, 위험 및 사회적ㆍ경제적 파급효과를 조사ㆍ평가한 자료와 기후위기 적응 정책을 마련ㆍ추진하는 과정에서 수집ㆍ활용되는 모든 자료 및 분석 결과물 등을 말한다.

 

○ 기후위기 적응정보 관리체계(제37조 제2항)

  기후위기 적응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ㆍ관리ㆍ활용하기 위한 정보관리체계

 

○ 기후위기 적응정보 통합플랫폼(제37조 제3항)

  기후위기적응정보관리체계를 통하여 수집ㆍ생산된 기후위기 적응정보를 국민에게 공개하고, 관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산업계ㆍ연구계ㆍ학계 등이 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축하는 통합플랫폼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보도자료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리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해외진출 활성화 본격 추진
다음글 [환경부] 우리 지역도 탄소중립 잘합니다… 탄소중립의 열쇠, 지자체에서 찾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