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과기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36개국이 한국에 모인다(3.24~3.29)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36개국이 한국에 모인다(3.24~29)

-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 한국 최초 개최 -

- 8대(디지털화, 에너지시스템 등) 기후기술 분야 협력방안 중점 논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의 이사회가 3월 24일(금)부터 3월 29일(수)까지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으로서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이 참여하는 총회를 개최하여 주요사항을 결정한다.

 

 제1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2010년)에서 각국은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합의하며 기술메커니즘 설립을 결정하였다. 기술메커니즘은 기후변화대응 기술(이하 ‘기후기술’)의 개발과 수요국가에 대한 이전을 지원하며,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기술집행위원회(TEC), 기술협력 활동을 지원하는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와 각 국가별 지정창구(NDE)로 구성되어있다.(붙임 1)

 

 이들 기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결정사항 중 기술개발 및 이전에 관한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운영된다. 특히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피해를 입은 개도국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하고, 매년 약 2회의 이사회를 개최하고 있다.(붙임 2)

 

 

 2015년 과기정통부가 한국의 국가지정창구(NDE)로 지정되었고, 2018년 기술메커니즘 이사국으로 진출*함과 동시에 같은 해 기술협력 활동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국가지정창구(NDE)로 선정되는 등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이 CTCN 아-태지역 이사직 수임 중

 

 또한, 국가의 기후기술 보유 역량과 그간의 기술협력 기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지리적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지난해 7월 세계 최초로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를 유치・설립하였다.(붙임 3)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는 국가 간 기후기술 협력 사업을 지원하고, 기술 수요국 정부관계자를 대상으로 역량강화 프로그램 및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하는 등 실질적인 기술 확산 활동을 수행 중이다.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은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 개소 등 우리나라의 그동안 기후기술협력 기여를 고려하여 유럽 외 지역에서는 최초로 이사회를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고 각국의 CTCN 이사를 한국으로 초청하였다.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의 의장국을 맡은 미국을 포함하여 일본, 캐나다, 케냐, 나이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약 36개국에서 9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 이사회에서는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2022년)에서 결정된 8대* 기술지원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활동이 진행 될 수 있도록 플래그십 프로젝트 신설, 기술지원 사업 스케일업, 재정기구**(GCF 등)와의 협력 등 다양한 방안을 논의한다.

 

  * (8대 분야) 디지털화, 물-에너지-식량 시스템, 에너지 시스템, 건물 및 인프라, 기술로드맵, 국가혁신시스템, 기술수요평가, 비즈니스와 산업

 

 ** 녹색기후기금(GCF), 지구환경금융(GEF), 적응기금(AF) 등 유엔기후변화협약 산하의 기후재원 운영 기구

  

 

 특히,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은 8대 기술지원 분야 중 기술로드맵과 디지털화 분야의 기술협력 방안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개도국이 기술혁신을 통해 급격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국의 기술로드맵 수립 가이드를 제공하고, 머신러닝 등 디지털 전환을 통한 기후변화대응 방안에 대한 정책보고서 발간을 위한 추진절차 및 주요 내용을 확정할 예정이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개최국 환영사를 통해 “한국 정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기후기술 협력을 선도적으로 수행하고자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를 설립하고, 다양한 기술협력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앞으로도 수소, CCUS 등 탄소중립 분야의 기술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개발된 기술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적용될 수 있도록 관계 유엔기후변화협약 산하 기구와 협력을 통해 국가 간 기술의 연구개발 및 실증, 인력교류를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개요
2. CTCN 이사회 구성현황
3.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 주요의제(안)
4. 8대 기술지원 분야

 

 

붙임 1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기술메커니즘 개요

 *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b980dc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3pixel, 세로 448pixel

 

<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체계도 >

(출처: 유엔기후변화협약 홈페이지)

 

□ (목적)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의 기술개발 및 이전 활성화

 

□ (경과) 제1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설립 결정(’10년)

 

□ (구성) 기술집행위원회(TEC),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의 2개 기구와 각국 기후변화대응 기술협력 지정창구(NDE)로 구성

 

 ○ (기술집행위원회) 국가 간 기후기술 개발 및 이전에 관한 각국의 활동사항을 분석・평가하여 정책적 제언 역할 수행

 

 ○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 국가 간 기술협력을 이행하는 국제기구로, 개도국 기술지원・역량강화 등 실질적인 기술협력 활동 지원

 

 ○ (국가지정창구) 국가 간 기술협력 사업추진 등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간 기술협력을 이행하기 위하여 지정된 국가별 지정창구

 

 ※ 과기정통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국가지정창구(NDE)이며, 기술메커니즘 기구 중 CTCN의 이사국(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붙임 2

 

 CTCN 이사회 구성 현황

 

□ (구성) 정부위원 18인, 비정부위원 12인의 총 30인으로 구성

 

  ※ 이사회 의결권은 정부위원 18인 및 기술집행위원회(TEC) 의장단만 행사

정부위원(18명)

구분

위원

소속

선진국

(AnnexⅠ)

미국(의장)

Mr. Erwin Rose

국무부(정부)

폴란드

Mr. Jacek Trzosowski

기상물관리연구소(연구소)

캐나다

Ms. Annie Prigge

천연자원부(정부)

일본

Mr. Ichiro Sato

국제협력기구(정부)

유럽연합

Mr. Nicolas Galudec

유럽연합(연합정부)

우크라이나

Mr. Mykhailo Chyzhenko

국가환경투자기구(정부)

스웨덴

Ms. Sigrid Persson

에너지청(정부)

스페인

Ms. Lorena Prado Orcoyen

생태전환부(정부)

그리스

Mr. Stephen Minas

북경대학교(학교)

개도국

(Non-AnnexⅠ)

아시아

태평양

대한민국

Mr. Hyuk Chae Koo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부)

사우디아라비아

Ms. Aseel Alharthi

에너지부(정부)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Ms. Iniobong Abiola-Awe

환경부(정부)

케냐(前 의장)

Mr. Omedi Moses Jura

환경산림부(정부)

중남미

베네수엘라

Mr. Pedro Borges

보전진화생태기후변화연구소(연구소)

도미니카공화국

Mr. Pedro García Brito

환경천연자원부(정부)

군소도서국

파푸아뉴기니

Mr. Christian Lohberger

아스트라 솔라(민간컨설팅)

동유럽

조지아

Ms. Maia Tskhvaradze

환경보호농업부(정부)

최빈국

우간다

Mr. Fred Machulu Onduri

젠더노동사회개발부(정부)

비정부위원(12명)

구분

직급

위원

기술집행위원회

(TEC)

의장

Mr. Ambrosio Yobanolo del Real

부의장

Mr. Stig Svenningsen

녹색기후기금

(GCF)

공동 의장 중 한명 또는 지정된 사람

Mr. Emerson Resende

적응위원회

(AC)

의장 또는 부의장, 또는 지정된 사람

Mr. Kazem Kashefi

재정상설위원회

(SCF)

공동 의장 중 한명 또는 지정된 사람

Ms. Vicky Noens

CTCN

사무국장

Mr. Rose Mwebaza

옵저버 기관 및 선거구(NGO)

ENGO (환경) 대표

Mr. Ian Rivera

BINGO (산업) 대표

Mr. Henirque Schneider

RINGO (연구) 대표

Mr. Matthias Honegger

YOUNGO (청년) 대표

Ms. Tambe Honourine Enow

WGC (여성) 대표

Ms. Anne Barre

IPO (토착민) 대표

Mr. Handaine Mohamed

 

 

붙임 3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 주요의제(안)

 

□ (개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공통사항에 해당하는 의제(9개) 및 CTCN 운영방안에 대한 의제(16개)로, 총 25개 의제를 논의

 

< 주요의제 및 결정사항(안) >

 

구분

의제명

결정사항

1

기술메커니즘 공동업무계획(2023-2027) 이행방안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결정된 8대 기술지원 분야*의 각 분야별 기술협력 세부 활동계획(동향보고서 발간, 기술협력 사업기획・착수 등) 수립

 

*(8대 분야) 기술로드맵, 디지털화, 국가혁신시스템, 물-에너지-식량 시스템, 에너지 시스템, 건물 및 인프라, 비즈니스 및 산업, 기술수요평가

2

기술메커니즘-재정기구 간 협력방안

선진국-개도국 간 기술협력 확대를 목표로 기후재원을 보유한 재정기구(녹색기후기금, 지구환경기금, 적응기금, 세계은행 등)과 협력방안 마련

 

※ 재정기구 관계자가 참석하는 라운드테이블 개최 예정

3

CTCN 업무계획 이행전략

개도국 기술지원 확대를 위한 플래그십 프로젝트 기획, 협력기관 확대, 기존 기술지원 사업의 스케일업(scale-up) 등 신규 기술협력 활동방안 논의

중점 기술협력 분야로서 국가혁신시스템(National System of Innovation, NSI) 및 디지털화에 대한 CTCN 사무국 및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의 활동계획 논의

 

 

붙임 4

 

 8대 기술지원 분야

 

□ (수립배경)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기술메커니즘 기구 간 협력을 강화하고자 TEC-CTCN 공동업무계획 출범 및 8대 기술지원 분야 확정

 

□ (구성) 신규 기술지원 분야 2개(기술로드맵・디지털화)와 기존 기술지원 분야 6개(국가혁신시스템・물-에너지-식량・에너지・비즈니스 및 산업・기술수요평가)로 구성

 

 ① 기술로드맵(technology road maps): 국가적응계획,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등 국가계획과 연계할 수 있는 기술개발 및 도입을 위한 기술로드맵 수립 지침

 

 ② 디지털화(digitalization): 기후변화대응 기술협력을 위한 머신러닝 기술 활용 사례 분석 등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기후변화대응 해결방안

 

 ③ 국가혁신시스템(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기후변화대응 기술협력 확대를 위한 국가 정책・제도・규제 프레임워크 수립 및 개선방안

 

 ④ 물-에너지-식량 시스템(water-energy-food systems): 농업분야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스마트 농업기술 개발 및 이전방안

 

 ⑤ 에너지 시스템(energy systems): 신재생에너지 기술(그린수소 등) 및 에너지믹스를 포함한 에너지 효율화 기술에 대한 국가 간 공동 실증연구 기획・추진

 

 ⑥ 건물 및 인프라(buildings and infrastructure): 저탄소 자재를 활용한 건축 및 건물 에너지효율화 시스템 사례분석 및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⑦ 비즈니스 및 산업(business and industry): 철강 및 시멘트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생산 공정 및 제품 소개, 산업계 탈탄소 전환 방안

 

  ⑧ 기술수요평가(technology needs assessment): 개도국이 자국의 기후기술 이전수요를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한 평가체계 구축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산업부] 2023년 에너지저장장치(ESS) 융합시스템 보급사업 및 에너지신산업 금융지원사업 공고
다음글 [환경부] 유엔 물 총회 계기로 녹색전환 이니셔티브 참여 확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