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탄소중립위원회] [보도자료]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 개최

◈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 전력시스템 구축


 

► 5년간 3.7조원 투자 → 분산형 발전 확대(’22년 13.2%→’27년 18.6%)


 

◈ ’30년까지 미주・유럽 정기선 60% 친환경 선박 전환


 

► ’30년까지 7.7조원, ’50년까지 71조원 투자 → 158조원 경제효과 기대


 

-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 개최 -


 


 

【 1.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 】


 

    □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하고 유연한 전력시스템 구축’을 위해 ➀시장·제도 유연화, ➁전력계통 관리 역량 강화, ➂지능형전력망 산업 기반 마련 등 3대 방향 하에 추진전략 마련


 

        ㅇ 안정적 전력 수급을 위한 공급의 유연화와 소비의 스마트화 ㅇ 실시간 변동성 대응을 위한 전력망 디지털화와 마이크로그리드 활성화


 

        ㅇ 지능형전력망 확산을 뒷받침할 산업 생태계 구축 등 추진


 

【 2. 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전략 】


 

    □ 2050년 국제해운 탄소중립 및 해운·조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적 선대의 친환경 전환 추진


 

        ㅇ ‘30년까지 유럽·미주 정기선대 60%, ’50년까지 외항선대 100% 전환


 

    □ 친환경 해운 전환 통해 “해운 경쟁력 강화・조선업 활성화” 선순환 촉진


 

        ㅇ ’30년까지 생산유발 17조, ’50년까지 최대 158조원 경제효과 기대


 

 


 

□ 정부는 탄소중립・녹색성장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분산형 전원 발전 비중을 ’22년 13.2%에서 ’27년 18.6%로 확대하는 등 스마트하고 유연한 전력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는 한편,


 

 

     ㅇ 친환경 해운 전환 1위 국가를 목표로 ’30년까지 미주・유럽 정기선의 60%를, ’50년까지 전체 선대 100%를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하기로 하였다.


 

□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공동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는 2월 14일(화) 정부 서울청사에서 김상협 민간위원장 주재로 2023년 제2차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ㅇ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과 「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전략」을 심의・의결하였다.


 

□ 산업부는 ICT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통신・제어 등의 양방향 운영을 통해 전력 수요와 공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2023~2027)을 마련하였으며,


 

     ㅇ 국내 전력수급 및 시장에 적합한 ‘한국형 통합발전소*’ 도입 등으로 전력공급의 유연성을 강화하고, 소비자 참여 확대**를 통해 수요자원 시장을 증대해 나가기로 하였다.


 

          * 태양광, 연료전지 등 분산e를 통합하여 전력시장에 입찰하는 ICT 기반 가상발전소


 

       ** ▵국민DR(Demand Response) 시장 참여고객 : (‘22) 1.1만명 → (‘27) 2만명

           ▵플러스DR 시장 시장규모 : (‘22) 175MW → (‘27) 1,000MW


 

□ 해수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국제사회 탈탄소 규제강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ㅇ 5천톤 이상 외항선 867척을 대상으로 노후선 대체 건조시 친환경연료(e-메탄올*, LNG 등) 선박으로 전환하고, 정부, 공공기관, 금융권 등이 전환비용(’30까지 약 1조 8천억원)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e-메탄올 : 공기중 CO2 포집 및 재생에너지로 합성·생산 → 탄소중립 효과(순배출 제로)


 

□ 안건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2023~2027)은 「지능형전력망법」에 근거한 5년 단위 계획으로 ’12.7월 1차, ’18.7월 2차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 세 번째로 만드는 중장기 계획이다.


 

【국내외 동향】


 

□ 스마트그리드 세계 시장은 연 18.2% 수준으로 지속 성장할 전망이며, 미국 등 주요국은 분산 자원의 시장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다.


 

     ㅇ 우리나라도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공급 변동성이 증가하고 전기화, 데이터센터 증가 등에 따라 전력수요도 지속 증가 중에 있으나


 

     ㅇ 동해안-신가평 HVDC((High Volatage Direct Curremt, 초고압 직류 송전선로) 건설 지연 등 발전소·송배전망 투자가 정체되고 있어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위해 공급 유연화와 소비의 스마트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핵심 내용】


 

□ 이에 따라, 이번 계획에서는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 스마트한 전력소비 체계 구축을 통한 전력계통 안정성 강화 및 송·배전망 투자 최적화를 위해 5대 추진전략*과 11대 정책과제를 추진하기로 하였다.


 

       * ① 분산에너지 공급 안정성 강화, ② 스마트한 전력소비 체계 구축, ③ 전력계통 운영시스템 고도화, ④ 마이크로그리드 활성화 기반 마련, ⑤ 지능형전력망 산업 경쟁력 강화


 

□ 첫째, 전력 공급 유연성을 강화한다. 제주지역 플러스DR 및 풍력발전단지와 연계하여 섹터커플링(재생에너지 잉여전력 부문 간 연계) 기술을 실증하고 전기차의 에너지저장장치 활용 기반을 마련하는 등 유연성 자원을 확보한다.


 

     ㅇ 또한,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발전량 입찰제도 도입과 통합발전소 제도 마련으로 재생에너지의 제어자원화를 통해 변동성을 완화한다.


 

□ 둘째, 스마트한 전력 소비 체계를 구축한다.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해소를 위해 플러스DR 시장 운영을 확대하고 에너지 절약 사업을 연계하여 국민DR을 확산해나갈 예정이다.


 

     ㅇ 아울러, 주택용 계시별 요금제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계량 인프라인 스마트전력량계(AMI)*를 지속적으로 보급하여 소비자의 전력시장 참여 확대를 유도한다.


 

        *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 양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사용량・요금 등의 정보를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제동하여 자발적 절약을 유도하는 지능형 전력계량 시스템


 

□ 셋째, 전력망을 디지털화하여 관리 역량을 강화한다. 분산에너지 계통수용성 제고를 위한 핵심 기술인 그리드포밍(관성 부여 기술)과 직류 혼용 배전망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ㅇ 차세대 에너지관리시스템(EMS)과 디지털 변전소 등 재생에너지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며, 복잡해지는 배전망 관리를 위한 제도와 시스템을 도입한다.


 

□ 넷째, 공급 안정성 향상을 위해 마이크로그리드를 활성화한다. 산업단지, 마을·섬 등 유형별로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모델을 확산하고


 

        * Microgrid :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저장장치의 융합 등을 통해 소규모 지역에서 전력을 자급자족하는 시스템


 

     ㅇ 향후 주유소 기반의 에너지 슈퍼스테이션, 군부대, 소방서 등 국민 안전 직결 시설, 대형 발전소와 연계한 데이터센터 등으로 마이크로그리드를 다양화해 나갈 예정이다.


 

□ 다섯째, 지능형전력망 확산을 뒷받침하기 위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ㅇ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지능형전력망 인증제도를 도입하고 인력양성, 해외진출 지원 등 지속적으로 산업 경쟁력을 강화해나갈 것이다.


 

□ 정부는 향후 5년간 지능형전력망 분야에 약 3조 7천억원을 투자하여 전력공급 변동성을 완화하고 전력 소비패턴을 유연화하고 전력계통 안정성을 강화해 나갈 것이며,


 

     ㅇ 매년 시행계획 수립을 통해 5대 전략과 11개 과제가 적기에 이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추진 배경】


 

□ 정부는 국제 탈탄소 규제강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선복량 4위 해운 강국인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모범적인 친환경 해운 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4대 추진전략*을 마련하였다.


 

        * ① 친황경선대 전환, ② 해운산업 투자여건 개선, ③ 친환경 기술 및 연료인프라 확충, ④ 무탄소 항로 구축 및 국제협력


 

【핵심 내용】


 

□ 첫째, 친환경선대 전환을 통해 국제 규제에 대응하고 2050 탄소중립 시대에 대비한 해운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한다.


 

     ㅇ 국제해사기구(IMO) 규제 대상인 5천톤 이상 외항선 867척을 대상으로 노후선 대체 등을 통해 친환경선박으로의 전환을 추진한다.


 

     ㅇ 특히 올해 상반기 중 독자적인 탄소부담금 제도를 도입하는 유럽연합(EU)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30년까지 유럽·미주 정기선대 60%의 우선적인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 둘째, 해운선사의 적기 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금융 등 다각적인 지원을 추진한다.


 

     ㅇ 친환경선박 전환을 위해서는 재래선 대비 약 31%의 건조비용이 증가될 전망이며, 비용부담으로 인해 선사가 친환경 전환 투자를 주저하지 않도록 정부 및 공공기관, 금융권 등의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ㅇ 최대 4조 5천억원 규모의 해양진흥공사·산업은행 등 공공기금을 조성하여 후순위 대출 등으로 지원하는 한편, 친환경선박에 대한 녹색금융 지원을 통해 대출자금에 대한 금리인하 혜택 등을 부여한다.


 

     ㅇ 열악한 재무여건으로 투자여력이 부족한 중소 해운선사를 위한 특별 지원방안도 추진된다. 최대 1조원 규모의 펀드를 신설하여 중소선사의 친환경 전환 및 경영 안정화 등을 지원하고, 해양진흥공사를 통해 중소선사의 선박투자 지원 확대 및 특별보증 지원 등을 추진한다.


 

□ 셋째, 친환경선박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친환경 기술개발 및 미래연료 인프라 확충을 추진한다.


 

     ㅇ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가 공동 추진 중인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22~’31, 2,540억원)” 사업을 통해 저탄소 및 무탄소 선박의 원천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ㅇ 선박용 미래연료 공급망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해 e메탄올, 암모니아, 수소 등 연료전환에 대비한 항만시설 확충을 추진하고, 해수부・산업부 공동으로 바이오연료 통합기술개발(’23~‘24, 예타)를 추진하여 선박용 미래연료 생산 기술 등을 확보할 계획이다.


 

□ 넷째, 한국형 친환경 해운산업 모델을 확산하여 글로벌 해운산업을 주도하기 위한 무탄소항로 구축 등 국제협력 정책을 추진한다.


 

     ㅇ 부산-미국 서부간 무탄소 녹색해운 항로 구축을 위한 타당성 연구에 착수하고, 무탄소 연료 추진선박 시범운항 지원 등을 통해 향후 유럽·아시아 등으로 무탄소항로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ㅇ 또한, 대한민국이 논의를 주도하는 국제 거버넌스를 구축한다. 해수부가 올 6월 개최하는 “한국해사주간” 행사에서 장관급 컨퍼런스를 추진하여 주요 해운국, 개도국과의 국제협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국제해사기구 기금사업 구상 등 국제논의를 주도할 계획이다.


 

□ 친환경 해운 전환 1위 국가를 목표로 국적선대의 친환경 전환을 추진함으로써 국내 해운·조선 산업의 동반 성장을 이루는 선순환 효과가 기대된다.


 

     ㅇ 친환경선박의 대체 건조를 위해 해운기업 및 정부, 공공기관에서 ’30년까지 8조원, ’50년까지 총 71조원의 자금이 투자될 것으로 예상되며


 

     ㅇ 이는 조선·기자재 등 연관 산업의 생산유발로 이어져 ’30년까지 17조원, ’50년까지 최대 158조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친환경 해운 전환을 탄소중립 시대의 새로운 국가성장 동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붙임】 국제해운 탈탄소화 추진전략 기대효과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탄소중립위원회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산업부] 5년간 지능형전력망에 3조 7000억 투자…분산형 전원비중 18.6%로 확대
다음글 [환경부] 「2030 NDC 이행방안」관련 탄녹위-주요 경제단체 간담회 개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