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해수부] 2023년 해양수산 ODA, 20여개국에 287억원 규모로 추진

2023년 해양수산 ODA, 20여개국에 287억원 규모로 추진

- ODA와 연계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원에 총력 -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글로벌 해양 강국의 위상에 맞는 국제사회 기여와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원 등을 위해 ’23년 해양수산 ODA를 287억원 규모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23년 해양수산 ODA 사업에는 해수온도차 발전, 어촌특화개발 등 신규 사업 14개를 포함하여, 총 30개 사업이 포함된다. 또한 협력 대상국가는 20여개 국으로 아시아(약 53%, 베트남·필리핀·인도네시아 등), 태평양 도서국(약 20%, 피지·사모아·마샬 등), 아프리카(약 13%, 가나·세네갈 등), 중남미(약 8%, 페루)국가와 협력을 추진한다.

 

우선, 가뭄, 폭우, 해양 산성화 등 기후변화 위기로 실존적 위협에 직면하고 연안국과는 기후변화 위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해양조사·관측 및 분석, 재생에너지 개발 등 화석연료 대체를 위한 인프라 지원, 연구개발 및 인력 양성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대상국가는 7개 국가이며 약 85억원 규모(7개 사업)이다. 산호초 생태계 보호를 위한 사모아 해양산성화 관측 고도화사업(‘22~’25, ‘23년 6억원), 군소도서국 맞춤형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마셜제도 해수온도차 발전사업(’23~‘26, ’23년 8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물 부족·고온 등으로 양식이 어려운 사막·열대 지역, 수산업 의존도가 높으나 남획 등으로 수산자원이 부족한 국가 등의 식량 문제 해결 등을 위해 스마트 수산양식 성장기반 조성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 수온 조절·사료 공급·질병 관리 등을 자동화하기 위한 양식시설 현대화, 친환경 양식 기술 이전, 연구개발·인력 양성 등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대상국가는 3개 국이며, 약 38억원 규모(3개 사업)이다. ’16년 알제리 사하라 사막에서 바다 새우인 흰다리 새우 양식에 성공한 바 있으며, 이러한 성공 사례 확산을 위해 인도네시아 고부가가치종인 유큐마·나폴레옹 피쉬 양식 생산성 향상 사업(’23~‘27, 13억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해기사, 해운·해사 국제규범 전문가 등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인프라 등이 미흡한 태평양 도서국과는 역량강화를 위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대상국은 10개 국이고, 41억원 규모(4개 사업)로 추진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국제해사기구(IMO)와의 협력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도서국 여성 해기사 양성 사업(’23~‘26, ’23년 8억원), IMO 협약이행 역량강화 사업(‘23~’27, ‘23년 8억원) 등을 신규로 추진한다.

 

어촌마을 자립 능력 강화를 위해 소규모 어항 건설 등 인프라 개선과 양식 기술 이전, 관광 활성화 등을 접목한 어촌 특화개발 사업을 투발루(‘23~’26, ‘23년 20억원)에서 처음으로 시작한다. 소규모 어항 건설 및 수산시장 리모델링을 통해 투발루 수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어업훈련센터 건립을 통해 어업인들의 역량 강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예방·처리 문제가 국제적인 해양오염 현안으로 논의됨에 따라, 올해부터 동아시아해양환경협력기구(PEMSEA)와 협력하여 세계 최대 해양쓰레기 발생 지역인 필리핀, 동티모르 등을 대상으로 해양 플라스틱 생애주기 관리 사업(’23~‘28, ’23년 12억원)을 신규 추진한다. 지역별 상황에 있는 해양 플라스틱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쓰레기 차단시설, 수거 차량, 집하장 등 관련 설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해양수산 선도국가를 지향하는 우리나라는 유엔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책무를 수행해야 할 국가 중의 하나”라며, “기후변화 대응, 해양환경 보호, 수산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 등 글로벌 현안 문제를 국제사회가 함께 해결해나가기 위해서, 해양수산 ODA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해양수산 ODA를 지속 확대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해양수산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외교부]「제5차 한-유럽연합(EU) 에너지․환경․기후변화 작업반 회의」개최
다음글 [기상청] 기후위기 대응, 과학과 데이터에 기반해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