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언어선택

기후변화 News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 정책·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제목 [산업부] (참고자료) 한-UAE 산업·에너지·무역투자 분야 미래 지향적인 전략적 협력 기반 공고화

 

한-UAE 산업·에너지·무역투자 분야
미래 지향적인 전략적 협력 기반 공고화

- 정상순방 계기, 산업첨단기술협력, 포괄적·전략적 에너지 파트너십,

무역투자 촉진 프레임워크(TIPF), 수소협력 등 MOU 총 7건 체결

 

1. 윤석열 대통령의 UAE 순방 계기, 2023년 1월 15일(일) 산업통상자원부 및 에너지와 산업분야 유관기관・기업들은 UAE 측과 총 7건(산업 1건, 에너지 5건, 무역·투자 1건)의 공동성명, 양해각서 또는 계약을 체결하였다.

 

2.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술탄 알 자베르(Sultan Al Jaber) UAE 산업첨단기술부 장관과 「한-UAE 전략적 산업첨단기술 파트너십 MOU」와 「한-UAE 포괄적·전략적 에너지 파트너십 공동선언」에 서명하고,

 

 ㅇ 수하일 알 마즈루이(Suhail Al Mazrouei) UAE 에너지인프라부 장관과 「한-UAE 수소협력 MOU」를, 압둘라 알 마리(Abdulla Al Marri) UAE 경제부 장관과는 「무역·투자 촉진 프레임워크」를 체결하였다.   

 

< 韓 산업통상자원부 - UAE 관계부처 간 공동선언 및 양해각서 >

 

분야

명칭

주요내용

산업

➊전략적 산업첨단기술 파트너십(SPIAT) MOU

* (韓) 산업부 장관 ↔ (UAE) 산업첨단기술부 장관

제조업 분야 디지털 전환, 모빌리티·항공우주, 부품·소재, 공급망 등 산업 및 첨단기술 분야 협력 확대 심화 

➋포괄적·전략적 에너지 파트너십(CSEP)

공동선언

* (韓) 산업부 장관 ↔ (UAE) 산업첨단기술부 장관

넷 제로 가속화 프로그램(원전), 탄화수소 경제, 산업 탈탄소화, 에너지 금융·투자, 정책 조정 등 5개 작업반 구성 및 협력

➌수소협력 MOU

* (韓) 산업부 장관 ↔ (UAE) 에너지인프라부 장관

수소 全 주기에 걸친 정책, 투자, R&D 협력, 청정수소 국제기준 공동개발, 수소 교역 협력, 수소 발전·수송분야 협력, 민간 수소 협력 강화 

무역

투자

➍무역·투자촉진 프레임워크

(TIPF) MOU

* (韓) 산업부 장관 ↔ (UAE) 경제부 장관

무역원활화, 투자, 에너지·광물자원 공급망, 디지털·그린·바이오 경제, 중소기업, 무역기술 장벽 등 협력

 

3. 한편, 동 서명식에서는 한국석유공사와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 : Abu Dhabi National Oil Company) 간 「한-UAE 국제공동비축사업 계약」이 체결되었으며,

 

 ㅇ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과 에미리트 원자력에너지공사(ENEC : Emirates Nuclear Energy Corporation) 간에는 「넷 제로 가속화 프로그램 MOU」와 SK주식회사와 무바달라 투자회사 간에는 「자발적 탄소시장 파트너십 MOU」도 체결되었다.

 

< 韓-UAE 정부유관기관・기업 간 계약 및 양해각서 >

 

분야

명칭

주요내용

➎한-UAE 국제공동비축사업 계약

* (韓) 한국석유공사 ↔ (UAE) ADNOC

한국석유공사 여수비축기지에 ADNOC 원유 저장 계약, 국내 원유 수급 비상시 우선 구매

➏넷 제로 가속화 프로그램 MOU

* (韓) 한전·한수원 ↔ (UAE) ENEC

원전 제3국 공동진출, 넷 제로 공급망, 투자, SMR 기술 개발 가속화 등 협력

➐자발적 탄소시장(VCM)

파트너십 MOU

* (韓) SK 주식회사 ↔ (UAE) 무바달라 투자회사

공동협의체 설립 및 아시아 지역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탄소 거래 플랫폼 투자, 탄소 감축 인증센터 설립·운영, 탄소 감축 기술 개발

 

4. 분야별 협력 성과

 

가. 산업 : 소재·부품, 디지털 전환, 모빌리티, 항공우주 등 첨단산업 협력 강화

 

□ 먼저, 산업분야에서는 UAE의 산업 다각화 정책에 따른 「전략적 산업첨단기술 파트너십(SPIAT)* MOU」를 체결함으로써 양국 기업 간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新 산업·첨단기술 분야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는 실질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 SPIAT : Strategic Partnership on Industry and Advanced Technology

 

 ㅇ 특히, 한-UAE 양국은 디지털 전환, 모빌리티, 항공우주, 부품·소재, 공급망 협력(제약·의료기기 포함) 등을 포함한 「첨단제조 이니셔티브」 추진에 합의하여 첨단제조 분야에서 양국의 강점을 결합한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발굴하여 추진하기로 하였다.

 

 

나. 에너지 : 원전 협력 가속화 및 에너지 신시장 공동 창출 협력 강화

 

□ 양국은 지속 가능한 청정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포괄적·전략적 에너지 파트너십 공동선언(CSEP*)」을 통해 원전, 재생에너지, 수소, CCUS(탄소포집사용저장) 등을 포함하여 에너지 전반에 걸친 포괄적 협력 플랫폼 구축과 함께,

 

   * CSEP : Comprehensive and Strategic Energy Partnership 

 

 ㅇ (원전) 한-UAE 간 원전 관련 협력 강화를 위해 제3국 원전 수출시장 공동 개척 및 SMR(소형모듈원자로) 등 미래원전 기술개발 등을 포함한 「넷 제로 가속화 MOU」 체결을 추진했으며,

 

 ㅇ (에너지) 에너지신산업 분야인 수소 분야에서는, 「수소협력 MOU」를 통해 청정에너지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활용 등 全 주기에 걸친 전반적 수소 협력의 틀을 마련하였다.

 

   - 석유 분야에서는 「한-UAE 국제공동비축사업」을 체결하여 석유공급 위기상황 발생 시 계약물량 전량(400만 배럴)에 대해 한국이 우선 구매권 확보를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대여 수익(3년간 1,440만달러)도 확보하였다.

 

 ㅇ (탄소중립) 양국은 탄소 중립 달성 노력의 필요성에 상호 공감하여 민간 부문에서 체결된 「자발적 탄소시장(VCM*) 파트너십 MOU」 에 따라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민간 주도 탄소시장 구축에 합의하였다.

 

   * VCM : Voluntary Carbon Market

 

다. 무역·투자 : 공급망, 디지털, 그린, 바이오 등 교역 다변화 및 상호투자 확대

 

□ 한-UAE 양국은 국제 통상질서 변화에 대응하고 국가별 맞춤형 통상협력 전략을 추진할 수 있는 포괄적 통상협력 플랫폼인 「무역·투자 촉진 프레임워크(TIPF)*」를 UAE와 최초로 체결하였다.

 

 ㅇ 동 TIPF에는 무역원활화, 투자 증진, 공급망, 디지털, 그린, 바이오경제, 산업발전전략, 물류협력, 비즈니스 환경, 무역기술장벽 등이 포함되었다.

 

   * TIPF : Trade and Investment Promotion Framework

 

5. 기대 효과

 

 ㅇ (산업) 「한-UAE 전략적 산업첨단기술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양국 상호 관심 분야에 대한 민간 협력, 기술혁신 R&D 및 투자, 제3국과의 공동협력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협력 플랫폼이 마련되었으며,

 

  - 동 플랫품을 기반으로 양국 공동으로 가시적인 협력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실질적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특히 제약 및 의료기기 등 제조 관련 공급망 회복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아울러, 양국 간 산업협력 분야가 첨단제조장비, 소재부품 뿐 아니라 스마트팜, 이러닝 등 첨단융합 新 산업으로 확대되고 우리 기업의 UAE 진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ㅇ (에너지) 이번 에너지 협력 확대를 통해, 원전은 바라카 원전의 성공적 협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가속화와 SMR 등 미래 첨단원전 협력 기반의 틀도 마련하였다.

 

  - 에너지는 수소, 암모니아 등 청정에너지 확대 뿐만 아니라 탄소중립 분야에서도 민관협력 강화 및 시장창출 기반을 조성하였으며,

 

  - 특히, 탄소시장 구축은 우리 기업이 향후 다양한 탄소감축 사업 발굴, 탄소기준 마련 등 아시아 자발적 탄소시장 선점의 초석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ㅇ (무역·투자) 현재 추진 중인 한-GCC FTA 협상과 병행하여 한-UAE 간 교역 및 투자 협력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물류, 인증(할랄), 프로젝트 협력 등을 통해 對 UAE 수출 증대 및 교역 다변화에 기여하는 한편,

 

   - ‘한-UAE 투자촉진 포럼’ 설립 및 UAE 국부펀드(무바달라 등)를 활용한 국내 투자 유치 및 해외 공동투자 확대 등을 통해 국내 그린, 디지털, 바이오 등 유망 신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담당 부서

통상협력국

책임자

과  장

김영윤

(044-203-5720)

<총괄>

중동아프리카통상과

담당자

사무관

김보현

(044-203-5726)

 

제조산업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호철

(044-203-4310)

 

기계항공로봇과

담당자

서기관

이은희

(044-203-4312)

 

에너지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규성

(044-203-5320)

 

에너지정책과

담당자

서기관

유재영

(044-203-5125)

사무관

유재욱

(044-203-5136)

 

수소경제정책관

책임자

과  장 

이옥헌

(044-203-3950)

 

수소경제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김만식

(044-203-3953)

 

자원산업정책국

책임자

과  장

김대일

(044-203-5220)

 

석유산업과

담당자

사무관

명지혜

(044-203-5225)

 

파일
원문보기 View Original
분류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환경부] 환경부 장관, 기업들과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논의
다음글 [환경부] 환경부, 아랍에미리트(UAE)와 해수담수화 시설 인공지능(AI) 정수장 등 수출외교 본격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