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Climate Repors

정책연구 보고서 상세보기
Title

[UAE] UAE 신재생에너지 트렌드 및 진출전략

목차
제1장 중동 신재생에너지 동향
제1절 중동 에너지믹스 현황
제2절 중동 신재생에너지 동향

제2장 UAE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목표
제1절 에너지 전환 추진 배경
제2절 에너지 전환을 위한 UAE의 노력
제3절 UAE 에너지 관련 정부 역할 및 최근 트렌드
제4절 UAE 2050 에너지 전략
제5절 국가 수소전략
제6절 토후국별 주요 신재생에너지 정책

제3장 UAE 에너지 시장동향
제1절 시장 규모 및 성장률
제2절 주요 에너지원별 발전 동향 및 계획
제3절 주요 에너지원별 시장동향
제4절 최근 트렌드 : 해외 에너지 투자 프로젝트

제4장 주요 발주처 및 유망 프로젝트
제1절 주요 발주처
제2절 유망 프로젝트

제5장 신재생에너지 기자재 수입 동향

제6장 우리기업 진출 동향 및 전략
제1절 주요국 대비 UAE 수주 경쟁 동향
제2절 우리기업 진출을 위한 제언

요약
더보기
□ 중동 신재생에너지 동향
○ 중동 화석 에너지 의존도 98%로 매우 높은 편이고, 청정에너지 비중은 1~2% 수준으로 아직까지 매우 부족한 상황
* 신재생 에너지원별 비중 : 신재생에너지 0.7%. 원자력 0.6%. 수력 0.3% 순

○ 국별 중장기적인 전체 에너지원 중 신재생에너지 달성 목표를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투자 및 프로젝트를 발주 중
* 사우디 2030 (50%), UAE 2050 (44%), 카타르 2030 (2.4GW), 쿠웨이트 2030 (15%) 등

□ UAE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목표

○ 석유 없는 미래 대비를 위해 산업 다각화 추진 중, 최근 고유가를 바탕으로 경제 선순환 구조 형성
* 고유가 이전 ’20년 대외 수출액 3,503억 달러 → ’23년 5,403억 달러로 54.3% 대폭 상승

○ 2023년 COP 28 의장국으로서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도입, 2030년까지 탄소배출 19% 감축 목표, 2050년 넷제로 달성, 국가수소전략 등 적극적 행보
* 화석연료로부터 에너지 단계적 전환(Transitioning Away), 재생에너지 용량 확대 및 에너지 효율 개선, 글로벌 기후 회복력 체계 도입, 손실·피해 보상기금 출범 등

○ ‘UAE 2050 에너지 전략’을 통해 최초 통합의 국가적 에너지 전략 수립, 2050년까지 청정에너지 비중을 50%까지 확대 목표
* 신재생(’23년 1.1%→’50년 44%), 원자력(2.2%→6%), 가스(55%→38%), 정탄(1.5%→12%), 석유(40%→0%)

○ 2023년 국가수소 전략 발표, ’31년까지 단기, ’40년까지 중기, ’50년까지 장기 로드맵 설정 및 구체적인 달성 목표 설정 등
* (생산) 1.4백만톤→7.5백만톤→15백만톤, (수소생산거점) ’31년 2곳→’50년 5곳 등

□ UAE 에너지 시장동향
○ 2021년 기준, 전체 에너지 중 화석연료 비중이 96.2%로 매우 높은 편
* 신재생 0.7%, 원자력 3.1%로 청정에너지는 3.8% 수준으로 매우 미비

○ 태양광은 아부다비·두바이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확대 중, 아부다비는 2036년까지 총 16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 확충 예정
* Noor 0.9GW (’19년 준공), Dhafra 2.1GW (’23년), Ajban 1.5GW (’26년), Khazna 1.5GW (’27년)

○ 두바이의 경우 모하메드빈라시드 (MBR) 태양광 발전 단지에 태양광 설비를 집적화 시키고 있으며, 2030년까지 50GW 확충을 목표로 함

○ 현재 아랍 문화권 및 사막 최초 원자력 발전소인 바라카 1~4호기까지 상업 운전 시작, 앞으로 5.6GW 규모 원전의 가동 안정화 및 신규 원전 발주 전망
* COP28을 통해, UAE는 향후 30년간 원자력 발전량 3배 확대 합의

○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 대응, 폐기물 에너지화 및 탄소 감축을 위한 이니셔티브 시작, 두바이는 2,000톤 규모 고형 폐기물 처리 센터 건립

○ 최근 UAE 등 중동 국부펀드 및 정부기관 합작 형태로 해외 신재생에너지 투자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약 36.2억불 해외 투자
* 주요 투자지역 : GCC외 MENA 지역 37.9%, 서남아 28.6%,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0.7%, 동남아 10.1%., 유럽 4.3%, 북미 4.1% 등

□ 신재생에너지 기자재 수입 동향
○ (태양광 패널) ’23년 기준, 전년 대비 53.4% 수입 감소
* 주요 수입국 : 중국(점유율 91%), 미국(1.1%), 남아프리카공화국(1.0%) 등

○ (인버터) ’23년 기준, 전년 대비 27.6% 수입 증가
* 주요 수입국 : 중국(점유율 40.8%), 스웨덴(8.9%), 독일(6.8%), 미국(6.3%), 홍콩(5.1%) 등

○ (축전지) ’23년 기준, 전년 대비 17.1% 수입 감소
* 주요 수입국 : 중국(점유율 37.1%), 인도(14.9%), 한국(8.4%), 베트남(5.9%), 독일(4.8%) 등

○ (풍력 기자재) ’23년 기준, 전년 대비 45.3% 수입 증가
* 주요 수입국 : 미국(점유율 31.3%), 중국(16.5%), 독일(9.1%), 사우디(6.5%), 영국(5.6%) 등

□ 우리기업 진출 동향 및 전략
○ UAE 주요 발주처 6개사의 파트너사 167개 분석 결과
* 컨설팅 분야(개사) : UAE(14), 유럽(11), 북미(9), 동아시아(1/일본) 기업 강세
* 개발권 참여(개사) : 유럽(11), UAE(8), 동아시아(7/중국3, 한국2, 일본2) 기업이 강세
* EPC로 참여(개사) : UAE(20), 유럽(11), 동아시아(11/중국6, 한국4, 일본1) 기업이 강세

○ 프로젝트 수주 확대를 위해, 투자 동반형 프로젝트 수주전략, 해외기업 컨소시움, 제조업 공동 진출, 한-UAE CEPA 및 한-GCC FTA 등 활용 필요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File
View Original URL 미리보기는 PDF, 이미지 형식만 지원됩니다.
Sources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정책연구 보고서 이전글 다음글
Prev [국회입법조사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2125917) 입법영향분석 - 기후 관련 공시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Next [폴란드] 폴란드 에너지 정책 및 원전 동향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