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Climate Repors

정책연구 보고서 상세보기
Title

[기타] 9.11 주요국 지속가능항공유(SAF) 의무화제도 도입 개요와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주요국 지속가능항공유(SAF) 의무화제도 도입 개요와 시사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습니다.
- 항공부문 탄소중립 정책 부문에서는 UN 산하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주도하는 국제항공 탄소감축·상쇄제도 (CORSIA)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CORSIA에서 인정되는 연료는 지속가능항공유(SAF)와 저탄소항공연료(LCAF)임. ICAO의 기술분석에 따르면 SAF는 국제항공의 CO2 배출을 줄이는 데 가장 큰 잠재력이 있습니다.
- 노르웨이는 세계 최초로 SAF 의무화제도를 도입한 국가로, 이를 통해 다른 국가들이 SAF 의무화제도 도입을 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2020년부터 노르웨이의 항공연료 공급업체는 연간 판매되는 총 연료량의 최소 0.5%가 바이오연료로 구성되도록 해야 합니다.
- 수년간의 집중적인 논의 끝에 2023년 10월 9일, 유럽 이사회는 EU의 SAF 의무화제도인 ReFuelEU 입법안을 공식적으로 승인합니다. ReFuelEU의 의무대상자에는 연료 공급업체, 항공사, 공항 등 3주체가 모두 포함됩니다. 2025년부터 2%의 SAF 혼합 목표가 적용되어 2050년에는 70% SAF로 증가합니다.
- 스웨덴, 프랑스 등도 SAF 혼합의무를 시행중이며, 영국은 의회 승인 시 2025년부터 SAF 혼합 의무화제도가 시행되며, 아시아의 인도, 일본은 SAF 혼합의무화 계획을 발표합니다. 우리나라도 주요국들의 SAF 의무화에 대응하고 항공유 수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의무화를 통해 국내 SAF 시장을 조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File
View Original URL
Sources [기타]ESG Finance
정책연구 보고서 이전글 다음글
Prev [기타] 알제리, 제4차 신재생에너지 성과 보고서 발표
Next [기타] 인도네시아 수력발전소 발전량 감소 동향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