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Climate Repors

정책연구 보고서 상세보기
Title

[기타]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 [탄소중립 이행과 에너지 전환]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와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추진으로 에너지안보에 대한 개념이 변화하고 있으며, 주요국들은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 및 경제구조의 저탄소 전환을 위한 관련 정책 및 대외협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주요 쟁점]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 대응에서 주요 쟁점으로 △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 핵심광물 공급망, △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를 위한 지원으로 분석하였습니다.
▶ [국제협력] 분석된 주요 쟁점을 토대로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 차원의 국제협력으로 △ 핵심공급망 확보, △ 신에너지 기술혁신 및 국제표준 수립, △ 지속가능 투자 및 개도국 지원 확대가 있으며, 다자차원의 협력이 인도ㆍ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G20, 에너지 및 기후에 관한 주요 경제국 포럼(MEF),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등에서 모색되고 있습니다.
▶ [탄소중립을 고려한 에너지안보 대응]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에너지안보 강화노력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적인 노력 이외에도 국제협력은 장기적으로 국내 에너지안보를 강화하는 바탕이 될 수 있습니다.
▶ [정책 제언]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대외협력 강화, △ 신에너지 기술 혁신 및 국제표준 수립 노력 강화, △ 청정에너지 투자 촉진과 개도국 지원 확대를 정책 과제로 제안합니다.

ESG Tag :
그린딜 (green deal)
에너지 안보 (energy security)
탄소중립 (Carbon Neutralization)
저탄소 전환 (low-carbon transition)
청정에너지 (clean energy)
금융 Tag : 금융일반
지역 : 글로벌(Global)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링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File
View Original URL
Sources ESG Finance
정책연구 보고서 이전글 다음글
Prev [기타] [ESG 뉴스레터] EU CSDDD 주요 내용과 대응 방안
Next [기타] 탄소 포집 및 활용 저장 기술과 보험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