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limate Technology NEWS

신기술 NEWS 상세보기
Title [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 풀러렌, 흑연 자리 차지할 수 있을까?

풀러렌, 흑연 자리 차지할 수 있을까?
순수 결정질 풀러렌 기반 리튬이온 이차전지 개발
흑연 음극재 대비 고용량과 장수명 성능 보여

□ 순수한 결정질의 풀러렌 나노입자가 소개되었다. 탄소 원자 60개가 축구공 모양으로 모인 풀러렌은 리튬이온 이차전지 소재로의 응용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기존 합성법으로는 비정질 형태로 크기도 불균일한 풀러렌에 만족해야 했다.
※ C60 (풀러렌, fullerene) : 탄소(C) 원자가 60개로 오각형 12개 육각형 20개로 연결된 축구공 모양의 매우 안정한 분자로 탄소 동소체 중의 하나임.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조채용 교수(부산대학교) 연구팀이 새로운 열증발-냉각법을 개발하여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균일하고 순수한 풀러렌 결정질 나노입자를 얻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나아가 이렇게 얻은 결정질 나노입자를 기존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소재인 흑연과 비교해 비용량이 2배 이상 높았으며 1,000회 이상 충·방전 했을 때 탁월한 안정성을 보였다.
※ 이론 비용량 (theoretical specific capacity) : 전지의 전극소재가 이론적으로 가질 수 있는 전자수로 단위질량당 또는 단위부피당 전하의 양을 의미하며 단위는 각각 mAh/g과 mAh/cm3이다. (예) 흑연 (372 mAh/g), 그래핀 (744 mAh/g), Si(Li4.4Si, 4200 mAh/g) 등 

□ 연구팀은 최초로 합성한 면심입방(face-centered cubic, fcc) 구조의 순수한 풀러렌 나노입자는 이론적으로 예측된 것(12개)보다 훨씬 많은 리튬이온(최대 21개)을 저장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풀러렌 분자로 구성된 면심입방 구조에서 추가로 리튬이 들어갈 가능한 공간을 계산하였다.
※ 면심입방구조(face-centered cubic, fcc) : 정육면체 각 모서리에 8개와 각 면의 중심에 6개의 원자 또는 분자로 구성된 결정구조의 형태 

□ 기존에도 풀러렌에 여러 기능성 그룹을 결합하거나 구조를 변형시켜 용량을 높이려는 시도는 있었으나 이번 연구결과는 순수한 풀러렌을 결정화하여 얻은 것으로 차별화된다. 

□ 연구팀은 흑연 대신 풀러렌을 음극으로 적용할 경우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장기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충·방전 과정 동안 풀러렌 결정 내 리튬이온의 증감에 따른 구조 변화를 동시 X-선 회절분석기(in-situ XRD)와 비동시 투과전자현미경(ex-situ TEM)을 통해 확인하였다.
○ 또한 연구팀은 리튬이온 증가에 따른 풀러렌 결정구조 변화를 이론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과제 및 기초연구실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10월 28일자로 출판 (Back Cover 선정) 되었다.

File
View Original URL View Original
국내 기술동향
Category Tech trends(Korea)
Source 한국연구재단
신기술 NEWS 이전글 다음글
Prev [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 고농도 이산화탄소 전환 광합성 미생물 개발
Next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그래핀’속 나노 결함, 빛으로 찾아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