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lobal Trends

Global NEWS 상세보기
Title 호주, 친환경 에너지 산업 정책 및 시장 동향

■ 전력 안정성 및 기후변화 대응 위한 국가에너지보장(National Energy Guarantee, NEG) 제도 마련
■ 전력 확보를 신재생에너지 위주 유도, 자발적 감축('30년까지 '05년 배출량의 26% 감축 목표)

 2017년 Clean Energy 분야에 투자한 금액은 90억 달러로 전년대비 150% 이상 증가하면서 사상 최고를 기록함(전력난이 신재생에너지 위주 발전정책이라는 우려와는 다르게 나타남)

호주 정부는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타깃(Large-scale Renewable Energy Target, LRET) 정책을 시행하며, 2020년까지 최소 33,000GWh를 신재생에너지로 발전 공급을 위해 다각도로 지원 중임

호주 석탄발전소들이 폐쇄되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연방정부와 주정부간의 정책 혼선으로 2017년 전기요금이 10% 이상 인상된 바 있음 => 이는 천연가스 가격의 가파른 상승현상, 냉방용 전력수요 증가, 전력망 연계장치(InterConnector) 고장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됨

지속적인 전기료 상승으로 인해 태양 전지판 설치 주택이 증가함(전체 가구의 약 26% 설치)

소규모 신재생에너지계획(Small-scale Renewable Energy Scheme, SRES) 하에 가정용 및 기업용 옥외태양광설비 생산 전력을 전력공급회사와 대형 전력수용가가 의무적으로 구매하는 정책을 시행

태양광, 풍력에너지 등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이 높아지는 가운데 전력수급과 송배전망 안정성 등이 이슈화되면서 유틸리티 규모의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프로젝트가 증가 추세이며, 옥외태양광 발전설비와 ESS를 함께 설치하는 가정용 전력수용가 및 소규모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음

View Original URL View Original
국외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
File
Sources KONETIC
Global NEWS 이전글 다음글
Prev EU가 자금을 지원하는 POWERSTEP 프로젝트, 현재 폐수 처리 기술을 활용한 순 에너지 생산 증가
Next 브라질, 알루미늄 캔 재활용 상위권 국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