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News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Title [산업부] 글로벌 청정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의 장 열려

 

글로벌 청정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의 장 열려

-역대 최대규모의 ‘제3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 열려

- 온실가스 저감효과 기준의 글로벌 청정수소 인정 동향, 혼소발전 탄소저감 효과 등 공유

 

  청정수소 관련 각국의 정책 방향 공유, 공급망 구축 및 기술 협력 등을 위한 「제3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이 5월 30일(목)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금번 포럼에 모인 국제기구 및 해외정부 인사, 국내외 전문가들은 수소 생산방식이 아닌 온실가스 저감효과 기준으로 청정수소를 인정하고 있는 세계 각국의 동향, 혼소발전 탄소저감 효과 등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포럼의 연사로 참여한 글로벌 에너지 리서치 기관인 S&P Global은 전 세계 60개 이상의 국가에서 2030년까지 총 4천만 톤 이상의 청정수소가 생산될 계획이라고 언급하며, 청정수소로서 그린수소와 블루수소의 생산 촉진을 위한 각국의 정부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뒤이어,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와 글로벌 수소 관련 기업 CEO 협의체(Hydrogen Council)은 청정수소 주요 수요·수입국이 될 한국의 경우 청정수소 교역을 통해 해외의 풍부한 자원(재생에너지, 천연가스 등)을 활용한 경제성 있는 청정수소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청정수소의 글로벌 교역 촉진을 위한 각국의 청정수소 기준 정보 공유, 글로벌 밸류체인 협력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아울러,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는 2030년까지 총 45~90TWh 규모의 청정수소를 수입할 계획이라고 밝히는 한편, 그린수소의 이용가능물량, 경제성 등 감안하여 블루수소 등 저탄소수소를 수입·활용할 예정이라고 언급하였다.

 

  일본 JERA는 일본 헤키난 지역에서 진행 중인 석탄화력발전소의 암모니아 혼소발전(20%)에서 온실가스 감축 효과와 함께 미세먼지 원인이 되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도 혼소발전 이전 대비 저감되었다는 실증 결과를 소개하였다.

 

  최남호 2차관은 환영사에서 “한국은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23.12월), 세계 최초의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24.5월) 등을 통해 청정수소 생태계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청정수소 교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국가별 청정수소 기준에 대한 조화방안 마련, 상호 보완적인 공급망 구축 등을 위한 긴밀한 공조를 추진해 나가자”고 강조하였다.

 

 

 

담당 부서

수소경제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범수

(044-203-3950)

수소경제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김일한

(044-203-3953)

 

 

 

붙임

 

 '제3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 개요

 

□ 행사 개요

 

  ㅇ (일시/장소) '24. 5.30, 14:00~17:00 / 잠실 롯데호텔월드(크리스탈볼룸, 3층)

 

  ㅇ (주최/주관) 산업통상자원부 / 에너지경제연구원

 

  ㅇ (참석 대상) S&P Global(원자재·에너지 분야 글로벌 리서치 기관), IRENA(국제재생에너지기구), Hydrogen Council(글로벌 수소 관련 CEO 협의체), 獨 연방경제기후보호부, 日 JERA(일본 최대전력회사),
전력거래소, 국내외 수소기업·기관 등 400명 내외

 

□ 주요 일정

 

시  간

주  요  내  용

비  고 

14:00~14:05

(5‘)

◾포럼 안내 및 참석자 소개

사회자

14:05~14:10

(5‘)

◾개회사

에너지경제연구원

김현제 원장

14:10~14:15

(5‘)

◾환영사

산업통상자원부

최남호 제2차관

14:15~14:20

(5‘)

◾축사

CF연합

이회성 회장

14:20~14:25

(5‘)

◾기념촬영 및 장내정리

사회자

발표세션 : 청정수소 생태계 활성화 추진방향

14:25~16:10

(105‘)

◾기관별 발제 (각 15‘)

 

  ① 글로벌 수소정책 및 시장 동향

S&P Global

Shankari Srinivasan,
Vice President

  ② 청정수소 교역 활성화 방안

IRENA

Ann-Kathrin Lipponer, Associate Programme Officer

  ③ 글로벌 청정수소 프로젝트 및 투자현황

Hydrogen Council

Daria Nochevnik,
Dircetor for Policy and Partnerships

  ④ 한국 청정수소 인증제 추진현황 및 계획

에너지경제연구원

이혜진 청정수소인증연구실장

  ⑤ 한국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설계방향

전력거래소

김권 수소정책부장

  ⑥ 독일의 수소수입 전략

獨 연방경제기후보호부

Falk R. Bömeke 과장

  ⑦ 일본 암모니아 혼소실증 현황 및 과제

日 JERA

Masato Otaki,

Executive Officer

16:10~16:20

(10‘)

◾휴식 및 장내정리

 

토론세션 : 패널토론 및 QA

16:20~17:00

(40‘)

◾패널토의 및 질의응답

참여자

17:00~

-

◾폐회

사회자

File
View Original URL View Original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Sources 산업통상자원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Prev [2024.06.13 / 온라인] 동아시아의 철강 탈탄소화를 위한 금융 해법 - 한국과 일본의 공공 보조금 지원 현황 파헤치기
Next [산업부] 2024 에너지 혁신인재 포럼 열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