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News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Title [산림청] 국립수목원, 영축산 구상나무 개체수 변화 확인

 

국립수목원, 영축산 구상나무 개체수 변화 확인

- 스트레스 증가로 인한 구상나무의 개체수와 크기 감소 확인 -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 영축산(1,081m, 경남 양산시) 구상나무 집단의 개체수가 2014년도 6개체에서 2024년도 4개체로 감소하고, 성숙목의 평균 수관크기 역시 31.8% 감소했다고 밝혔다. 고산성 침엽수종이자 한반도 특산식물인 구상나무는 대표적인 기후변화 민감종으로 다뤄지고 있다.

  2014년도 첫 조사에서는 성숙목 3개체, 어린 나무 3개체였으나, 2024년도는 성숙목 3개체, 어린 나무 1개체로, 어린 나무 2개체가 소실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난 10년간 성숙목의 평균 수고는 4.5m에서 4.2m로 감소, 평균 수관 넓이는 33.0㎡에서 25.1㎡로 감소하였으며, 평균 흉고직경은 19.0㎝에서 21.2㎝로 증가하였다. 살아남은 어린 개체 또한 직경과 수고는 증가하였으나, 수관의 넓이는 감소하였다.

  연구진은 구상나무 성숙목의 수고와 수관 넓이 감소는 스트레스 증가에 따른 수종의 균형 조절 과정으로 판단되며, 어린 개체의 고사는 원인을 특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영축산은 구상나무 생육지 중 가장 건조한 곳이며, 구상나무의 변화가 가장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장소이다. 구상나무가 자라는 소백산, 지리산, 덕유산 등은 겨울철 눈으로 덮여 있지만 영축산은 그렇지 않다.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신현탁 과장은 “기후변화에 민감하거나 중요한 산림생물종의 실제 분포 변화와 생태계 영향을 측정하는 다각도의 활동을 펼칠 것이다”라고 밝혔다.

 

담당 부서

국립수목원

책임자

과  장

신현탁

(031-540-8801)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담당자

연구사

조용찬

(031-540-8815)

 

 

붙임 1. 사진 자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rIR4A809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6pixel, 세로 86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rDSC_0149_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26pixel, 세로 123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4년 04월 04일 오후 10:31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NIKON D850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25.6 (Windows) F-스톱 : 7.1 노출 시간 : 10/2000초 ISO 감도 : 2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4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거리영역 : 매크로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EXIF 버전 : 0221

2014년 6월 17일과 2024년 4월 2일의 구상나무 성숙목 1번

흉고직경은 26.8㎝에서 30.4㎝로 증가, 수관 넓이는 63.6㎡에서 50.2㎡로 감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rDSC_0153_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26pixel, 세로 123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4년 04월 04일 오후 10:50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NIKON D850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25.6 (Windows) F-스톱 : 7.1 노출 시간 : 10/2000초 ISO 감도 : 2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4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거리영역 : 매크로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EXIF 버전 : 0221

2014년 6월 17일과 2014년 4월 2일의 구상나무 성숙목 2번

흉고직경은 14.0㎝에서 14.0㎝로 변화가 없었고, 수관 넓이는 15.9㎡에서 9.1㎡로 감소

 

File
View Original URL View Original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Sources 산림청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Prev [과기부] 인공지능으로 풀어가는 탄소중립, 한국이 주도한다!
Next [외교부]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고위관리회의(SOM) 개최(4.2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