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orean News

기후변화 News 상세보기
Title

[산업부] 한-카타르 액화천연가스(LNG) 기반 공급망 강화 방안 논의

 

한-카타르 액화천연가스(LNG) 기반
공급망 강화 방안 논의

- 2019년 이후 4년 만에 알 카비 카타르 에너지 담당 국무장관 방한

- 액화천연가스(LNG) 및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재생에너지, 수소·암모니아 등 협력 강화 방안 논의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9월 27일(수), 4년 만에 한국을 방문한 알 카비 카타르 에너지 담당 국무장관과 ‘한-카타르 에너지장관 회담’을 개최하고 양국 간 에너지 및 조선업에서의 공급망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세계 에너지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상황에서 한국과 카타르 양국 간 교역 규모는 약 171억 달러(’22 기준)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양국은 상호 최대 액화천연가스(LNG) 거래국으로서의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카타르는 그간 우리나라의 제1위 액화천연가스(LNG) 수입국(’22년 2위)이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 국가로서 지난 2022년 54척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계약을 체결했으며, 올해 하반기에도 추가 계약이 예상됨에 따라 양국은 에너지 분야에서 액화천연가스(LNG)를 매개로 한 실질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방 장관은 안정적 액화천연가스(LNG) 공급을 통해 구축된 양국 간 오랜 신뢰 관계를 높이 평가하고, 액화천연가스(LNG)뿐만 아니라 수소, 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원 다양화를 통해 상호 호혜적이고 지속 가능한 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또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추가 계약, 대규모 에너지 설비(플랜트) 사업에서 한국 기업들에 관한 관심을 요청하는 한편, 부산 박람회 유치를 위해 카타르 측의 지지를 당부했다.

 

  한편, 이번 회담에서 양 장관들은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수소·암모니아 생산 및 활용 등 다양한 에너지 분야에서 잠재적인 투자 기회 탐색, 기술 및 인적 교류 등 실질적인 협력 확대 방안을 모색했으며, 앞으로 고위급 교류 계기 성과를 끌어낼 수 있도록 긴밀히 협조하기로 했다.

 

 

 

담당 부서

<총괄>

 

 

 

 

통상협력국

책임자

과  장

권현철

(044-203-5720)

중동아프리카통상과

담당자

사무관

이충녕

(044-203-5724)

자원산업정책국

책임자

과  장

김재은

(044-203-5240)

자원안보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박주형

(044-203-5251)

제조산업정책관

책임자

과  장

송현주

(044-201-4330)

조선해양플랜트과

담당자

사무관

홍길표

(044-201-4334)

 

참고

 

 한-카타르 교역·투자 현황

 

□ (교역) 한-카타르 교역규모는 ‘23.1~7월 기준 약 98억불, 전체국가 중 

   17위, 중동국가 중 3위 교역국

 

    * ’23.7월 기준, 수출 55위, 수입 9위(중동국가 중 수출 4위, 수입 2위)

 

  ㅇ ’23.1~7월 교역규모는 전년 대비 4% 증가, 對카타르 무역수지는

     약 88억불 적자

 

   * 교역(억불) : 168('18) → 134('19) → 79('20) → 120('21) → 171('22) → 98('23.7, 전년비 4%↑)

 

   * 카타르 LNG 수입(백만톤)(연도, 비중, 순위) : 14.2(’18, 32.4, 1위) → 11.3(‘19, 24.8, 1위) → 9.1(’20, 22.7, 1위) → 11.5(‘21, 25.0, 1위) → 9.7(’22, 21.0, 2위) → 4.5(’23.6, 19.6, 2위)   ※ 1위 : 호주

 

       < 우리나라의 對카타르 연도별 교역 현황 (백만불) >

 

 구  분

’16

’17

’18

’19

’20

’21

’22

‘23.1~7

상품수출 

536

435

526

357

339

420

527

459

상품수입

10,081

11,267

16,294

13,037

7,562

11,611

16,567

9,290

총교역량

10,617

11,702

16,820

13,394

7,901

12,031

17,094

9,749

무역수지

△9,545

△10,832

△15,768

△12,680

△7,233

△11,191

△16,040

△8,831

 * 출처 : 한국무역협회

 

< 對카타르 수출입 상위 5대 품목 (단위: 백만불, %) >

 

주요 수출품

주요 수입품

품  목

’22년

’23년 7월

품  목

’22년

’23년 7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전체

527

25.3

459

69.1

전체

16,567

42.7

9,290

4.8

철강관및철강선

110

976.2

123

844.2

천연가스

8,507

36.6

4,543

10.2

자동차

66

44.1

33

△20.9

원유

4,887

39.5

3,665

25.4

석유제품

39

57.6

20

△8.0

석유제품

2,498

89.0

698

△49.7

전력용기기

27

△58.8

8

△51.8

알루미늄

287

27.0

156

△2.8

선박해용구조물및부품

23

5,483.7

3

△88.2

정밀화학원료

148

29.3

109

19.3

출처 : 한국무역협회(MTI 3단위 기준)

 

□ (투자) ’23년 1분기 누계기준 양국 간 직접투자 규모는 약 120백만불, 對카타르 투자는 약 119백만불, 對한국 투자는 약 1백만불

 

< 연도별 양국 간 직접투자 규모 (신고금액 기준, 단위: 백만불) >

 

구분

’16

’17

’18

’19

’20

’21

’22

‘23.1Q

누계

한국 → 카타르

4

7

1

6

1

5

3

1

119

카타르 → 한국

0

0

0

0

0

0

0

0

1

   * 출처 : 수출입은행(한→카타르), 산업통상자원부(카타르→한)

File
View Original URL View Original
국내 정책동향
Category Policy trends(Korea)
Sources 산업통상자원부
기후변화 News 이전글 다음글
Prev [환경부] 민관합동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강화
Next [산업부] (참고자료)산업부, 대규모 인적쇄신으로 국정과제 이행에 드라이브 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