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language
Climate Technology
Climate Technology NEWS
Title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에너지연, 친환경 ‘그린수소’의 경제적 생산을 위한 청사진 제시 |
---|---|
에너지연,친환경
-알칼라인 수전해,양성자교환막 수전해 기술 비교로 최적의 운영 전략 도출
-현재로서는 알칼라인 수전해와 기존 전력망을
-제주도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에너지AI·계산과학실 박정호 박사 연구진이 미래 친환경 수소 생산 기술로 손꼽히는 수전해 기술의 경제성을 분석하고 최적의
□ 미래 친환경 연료인 그린수소의 생산에는
*그린수소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통해
*알칼라인 수전해 :수산화칼륨 등 알칼라인 액체 전해질을 이용해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기술
*양성자교환막 수전해:고체 상태의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해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기술
□ PEM수전해의 경우 적은 전력으로도 수소를 생산할 수 있어 재생에너지만으로도 작동이 가능하다.하지만 초기 설치 비용이 높고 알칼라인 수전해에 비해 기술 성숙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한가지 기술만으로 그린수소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기 어려운 이유다.
■ 이에 연구진은 알칼라인 수전해와PEM수전해의 기술적 차이,경제성을 비교 분석해 최적의 운영 전략을 도출했다.특히 알칼라인
□ 알칼라인 수전해 장치에 전력이 일정하게 공급되지 않으면 가동과 중단이 반복돼 열화가 발생하고 수명과 효율이
□ 연구진의 분석 결과,재생 전력을 사용하면서ESS를 보조 전원으로 활용할 경우 수소
*균등화 수소 생산 단가(LCOH,
*수소생산단가 도출 기준
1) (ESS조합
2) (전력망 이용
□ 또 다른 기술인PEM수전해의 경우 장치에 과부하를 주면
□ 이를 통해 연구진은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이 높고 안정적 공급이 가능한 환경에서는PEM수전해를,이외의 환경에서는 알칼라인 수전해와 무탄소 기반의
□ 이에 더해 연구진은 우리나라 환경에 맞는 최적의 수전해 수소 생산 조합을 제안했다.제주도의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한 결과,향후 수전해 설비100메가와트(MW)를 기준으로 해상풍력100메가와트,태양광100메가와트를
■ 연구를 주도한 에너지연박정호 박사는“이번 연구는 알칼라인과PEM수전해의 기술적 차이를 명확히 분석하고,에너지 환경에 따른
□ 연구성과는 에너지연 기본사업을 통해 수행됐으며 |
|
File |
|
View Original URL | |
Category | Tech trends(Korea) |
Source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Prev | [수소경제종합정보포털] 일간 수소 이슈브리핑('25.3.10) |
---|---|
Next | [수소경제종합정보포털] 일간 수소 이슈브리핑('25.3.11) |